유가폭락! 국제 유가하락 원인과 우리생활에 미치는 영향 알아보기
유가폭락! 국제 유가하락 원인과 우리생활에 미치는 영향 알아보기
지난해 7월부터 시작된 국제유가의 하락세가 올해도 지속되고 있습니다. 2월 들어서는 그나마 반등하며 안정세를 찾고 있는데요. 그 동안 국제유가가 하락하게 된 이유는 무엇일까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국제유가의 하락 이유와 도시가스 요금인하, 유류할증료 인하 등 우리의 실생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려고 합니다. 더불어 국내∙외 유가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고 최저가 주유소를 한 눈에 찾을 수 있는 사이트와 어플 소개도 함께 준비했답니다.
대신 Balance 핵심정리
∙ 국제유가 하락 이유
원유의 과잉 공급 : 미국과 OPEC국가의 치킨게임
수요감소와 달러화 강세 : 대부분의 국가들 경제 저성장으로 인한 석유 수요 감소
∙ 유가하락과 국내 경제
큰 폭의 유가 하락에도, 유류세 등 높은 세금으로 인해 소비자의 체감은 낮음
3월부터 도시가스 요금 10.1% 인하 : 약 7만 5000원 절감
유류할증료 인하로 항공권 가격 인하 : 여행소비 심리 자극
∙ 한국석유공사에서 운영하는 '오피넷' : 국내∙외 유가정보, 최저가 주유소 정보 제공
국제유가 폭락
폭락 이유 ① 원유의 과잉공급
국제유가가 꾸준히 하향곡선을 그리는 이유는 원유의 공급과잉에 있습니다. 현재 미국과 러시아의 원유의 생산량은 증가하고 있고, OPEC 국가들은 원유 공급량을 줄이지 않고 있죠.
비회원국인 미국의 원유생산량이 급증한 이유는 셰일오일 시추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자체적으로 생산하는 양이 늘었기 때문인데요. 셰일오일에 대해서는 금융경제 이슈용어 포스팅에서 먼저 다뤘었죠!
이처럼 수요보다 공급이 과잉 되어, 시장원리에 의해 유가가 하락했다는 것이 가장 큰 이유로 꼽히고 있습니다. 정치적으로는 OPEC 국가들과 미국의 치킨게임이라고 보는 견해가 있습니다. OPEC 국가들이 생산량을 감산하지 않고 저유가를 유지하며, 미국의 셰일오일 업체들의 수익에 타격을 주며 아예 기반을 파괴하려는 한다고 보는 것이죠.
∙ [국제정치학 용어] 치킨게임이란?
어느 한 쪽도 양보하지 않고 극단적으로 치닫는 게임.
여러 극단적인 경쟁으로 치닫는 상황을 가리킬 때 인용.
▶참고 : [뉴스쇼 판] 유가폭락에도 증산 경쟁
폭락이유 ② 수요감소와 달러화 강세
이 외 또 다른 국제유가의 하락 이유로 수요의 감소를 들 수 있습니다. 미국을 제외한 선진국, 중국 등 신흥 국가들의 경제발전이 더뎌지며 석유의 수요가 점점 줄어들고 있습니다. 또한 유가를 거래하는 화폐인 달러가 강세를 보이는 것도 국제유가 하락의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합니다.
유가하락과 국내 경제
국제유가의 하락세, 국내의 경제에는 어떤 영향을 미칠까요?
큰 폭의 유가 하락에도 낮은 국내 소비자의 체감도
지난 달 11일, 1200원대 주유소가 충북 음성에 처음 등장했고, 2월 초까지만 해도 전국 134여곳에 달했습니다. 하지만 불과 3주만에 종적을 감췄는데요. 유가가 큰 폭으로 하락해도 국내 기름값의 하락폭은 크지 않고, 유가가 반등하면 잽싸게 오릅니다.
유가가 큰 폭으로 하락했다고 해도, 소비자들이 느끼는 수혜는 그에 미치지 못한다는 것이죠. 그 이유는 부문별로 석유를 소비하는 비중에서 산업이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어 유가 하락으로 인한 영향이 시차가 생기기 때문입니다.
또한 소비자의 체감도가 낮은 이유 중 하나는 국내 휘발유 가격 중 세금이 50% 이상을 차지하기 때문인데요. 유류세, 부가세, 관세 등을 합하면 리터당 약 54%에 달하기 때문에 국제 유가가 50% 떨어진다고 해도 주유소 가격의 최대 하락 추정치는 22%에 불과하고 합니다. 거의 정액으로 부과되는 유류세는 국제 유가에 큰 영향을 받지 않죠.
▶ 참고 : 세계일보 유가 하락의 수혜, 왜 가계까지 오지 않나
3월부터 도시가스 요금 10.1% 인하
산업통산자원부는 15일, 오는 3월부터 도시가스 요금을 인하한다고 밝혔습니다. 역시 국제유가 하락에 따라 인하된 LNG 원가가 도시가스 등 공공요금에 반영되었기 때문인데요.
발표에 따르면 평균 10.1%의 요금이 내린다고 합니다. 이는 지난 1월 5.9% 요금 인하에 이어 두 번째 인하이고, 도시가스 공급 이래 두 번째로 큰 폭의 인하입니다. 이로 인해 도시가스 요금은 작년에 비해 평균 67만 6000원에서 60만 1000원으로 약 7만 5000원 정도가 절감되는 셈이죠.
▶ 참고 : 중앙일보 내달 도시가스 요금 10% 내린다
유류할증료 인하로 해외여행 수요 증가
아마 올해 1월 알뜰하게 해외여행 다녀오신 분들 많이 계실 것 같은데요. 1월에 해외로 떠난 여행객이 183만 4천5백여 명에 달해, 그 수가 사상 최대를 기록했다고 합니다. 이는 작년 같은 달에 비해 25% 는 수치이고, 해외 여행객이 가장 많이 몰리는 작년 8월 출국자보다 29만명 가까이 더 많은데요.
이처럼 해외 여행객이 크게 는 것은 원화 강세가 계속되고, 거기에 국제유가 하락이 겹쳐 유류할증료가 많이 인하되어 항공권 가격이 싸졌기 때문으로 분석됩니다. 비교적 부담이 줄어 여행 소비심리가 자극된 거죠.
▶참고 : 매일경제 "유가하락 고맙다" 해외여행상품 호호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은 2월 미주 노선 현도 기준 유류할증료를 1월 보다 75% 낮아진 15달러로 정했는데요. 이는 지난해 2월 165달러의 10%도 안 되는 금액입니다. 유럽과 아프리카 노선도 56달러에서 73% 인하되고, 동남아시아 등도 전반적으로 크게 떨어졌었습니다.
오는 3월에는 5달러로 또 떨어져 소비자의 여행소비 심리를 더 자극할 것으로 보입니다. 연휴와 여름 휴가철에 사용할 항공권을 미리 저렴한 가격으로 사두려는 여행객들이 증가할 가능성이 높은데요.
아시아나, 대한항공 등에서 3월에 부과할 유류할증료는 일본·중국산동 1달러, 중국·동남아 2달러, 대양주·중동 4달러, 유럽·미주 5달러 입니다. 여행을 계획하고 계신 분들은 꼭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참고 : 한겨레 뉴스 유류할증료 '0원' 시절 다시 올까
한국석유공사에서 운영하는 '오피넷'
한국석유공사에서 운영하는 오피넷은 국내∙외 유가 정보는 물론, 최저가 주유소 정보를 한 눈에 확인 할 수 있는 유용한 사이트 입니다.
특히 오피넷 어플을 설치하면 손 쉽게 전국 평균 유가 및 관심 주유소, 관심 지역을 찾아볼 수 있는데요. 주유소를 자주 이용하는 드라이버들을 위한 주유소 가격비교와 최저가 주유소를 찾는 방법~ 필요하신 분들은 설치 후 유용하게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지금까지 국제 유가의 하락 원인과 우리 사회에 미치는 영향들을 살펴보았습니다.
우리 경제에는 호재인 측면도 있고 악재인 측면도 있을 텐데요. 부디 국가적으로 저유가 시대에 유연한 대처를 할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
[관련포스팅]
셰일가스, 셰일오일 매장량, 전망 및 동향 알아보기 - 금융경제 이슈용어
2015년 달라지는 경제정책1 - 2015년 자동차보험료 등급 인상차종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