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선물이 상장돼 있는 국가별 주요 파생상품 거래소 - 허성우의 글로벌 파생상품
해외선물이 상장돼 있는 국가별 주요 파생상품 거래소
- 허성우의 글로벌 파생상품
안녕하세요. 이번 시간에는 해외선물 입문 두 번째 시간으로 해외선물이 상장되어 있는 주요 파생상품 거래소에 대한 이야기를 하려고 합니다.
대신 Balance 핵심정리
∙ 대륙별/국가별 주요 해외선물 거래소
CME Group : 시카고 소재의 세계 최대 파생상품 거래소
EUREX : 유럽 내 최대 파생상품 거래소, 주로 다양한 금융 파생상품 거래
SGX : 싱가폴증권거래소, 아시아의 대표 거래소
ICE : 영국계 대표적인 에너지 상품 거래소
HKEX : 홍콩증권거래소
2000년대 중반, 중국 본토 대기업들이 홍콩 주식시장에 상장하며 주목받기 시작
1. 대륙별/국가별 주요 해외선물 거래소
1) CME Group
CME Group 이란 CME (Chicago Mercantile Exchange), CBOT (Chicago Board of Trade), COMEX (COMmodity EXchange), NYMEX (New York Mercantile EXchange), KCBT (Kansas City Board of Trade) 등, 5개의 거래소가 합병하여 만들어진 세계 최대 파생상품 거래소입니다.
연간 평균 거래량은 약 1,000조 달러 가치의 약 30억 계약이며, 8가지 이상의 상품군 (지수, 금리, 통화, 에너지, 금속, 농축산물, 날씨, 부동산) 을 기초자산으로 한 파생상품 거래 플랫폼을 구축하여, 리스크를 관리하고자 하는 개인 및 기관 등에 거래시스템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1848년, 미국 시카고에서 CBOT 라는 이름으로 세계 첫번째 선물 거래소가 개설된 이래, 여러 차례의 합병을 통해서 지금의 CME Group 이 되었습니다. 장구한 역사가 말해주듯, 세계에서 가장 넓은 범위의 가장 다양한 상품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또한, CME Clearing 이라는 자체적인 청산ᆞ결제 회사를 보유하고 있으며, CME Globex 라는 거래 플랫폼도 갖추고 있어, 전세계 150여개 이상 국가에서 CME Group 전체 거래량의 약 80% 거래량을 실현시켜 주고 있습니다.
2) EUREX
EUREX 는 1998년 독일의 DTB (Deutsche TerminBoerse, 독일 파생상품 거래소) 와 스위스의 SOFFEX (Swiss Options and Financial Futures EXchange, 스위스 옵션/금융선물 거래소) 가 합병되어 만들어진 유럽 내 최대 파생상품 거래소입니다.
연간 거래량은 약 15억 계약에 달하며, 지수, 금리 등 다양한 금융 파생상품이 주로 거래되고 있습니다. 특히, 국내 파생상품 투자자들이 많이 거래하는 KOSPI200 옵션의 야간시장도 EUREX 에 연계 상장되어, 최근에는 한국의 파생상품 투자자뿐만 아니라 전세계 다양한 투자자들의 거래 비중도 점점 늘어나는 추세입니다.
EUREX 는 EUREX Group 의 자회사로서, 미국의 지수옵션 및 ETF 상품이 거래되는 ISE (International Securities Exchange), 그리고 전력, 천연가스탄소배출권, 석탄 등이 거래되는 EEX (European Energy eXchange) 와 함께 EUREX Group 의 3대 거래소로 불리워집니다.
또한, EUREX Group 은 CME Group 과 유사한 구조로, EUREX Clearing 이라는 청산∙결제 회사를 보유하고 있으며, EUREX Bonds 와 EUREX Repo 라는 계열사들을 통해 채권 전산거래 및 유로통화 자금조달 등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명실상부 유럽 최고의 금융파생상품 거래소 그룹으로 손색없는 위치에 자리하고 있습니다.
3) SGX
SGX (SinGapore eXchange) 는 1999년 12월, 기존의 SES (Stock Exchange of Singapore, 싱가포르 증권거래소), SIMEX (Singapore International Monetary EXchange, 싱가포르 국제통화 거래소), 그리고 SCCS (Securities Clearing and Computer Services Ptd., Ltd.) 가 SGX 라는 하나의 새로운 주식을 발행하여 지주회사로 출범한 거래소입니다.
아시아에서 경제규모가 가장 큰 3개국의 지수선물 (중국, 인도, 일본) 상품을 상장시킨 아시아의 대표 거래소라고 할 수 있습니다. 또한, 아시아태평양 거래소 중에서는 ASX (호주증권거래소) 와 함께 유일하게 증시에 상장되어 있는 '상장된' 거래소입니다.
SGX 에서는 다양한 아시아 국가의 지수선물을 거래할 수 있는 것이 주요 특징입니다. 대표적인 지수선물은 일본 Nikkei 225 index, 대만 Taiwan index, 중국 China A50 index, 인도 Nifty index, MSCI 싱가폴 index, MSCI 인도네시아 index 등, 아시아를 대표하는 각 주요국가들의 지수를 기초자산으로 하는 파생상품입니다.
이 외에도, 통화 (중국 위안화, 일본 엔화, 호주달러 등), 에너지 (Fuel Oil), 농산물 (천연고무), 기타 (철광석) 등, 다른 경쟁 거래소와의 차별성과 상품 다변화를 추구하기 위해 꾸준히 새로운 상품의 상장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4) ICE
ICE (InterContinental Exchange) 는 Jeffrey C. Sprecher 라는 전력생산 개발자가 천연가스 시장의 투명성 제고와 인터넷을 이용한 더 편리한 거래 시스템의 필요성을 인지하여, 2000년 5월 Goldman Sachs, Morgan Stanley, BP, Total, Deutsche Bank, Societe Generale 등, 주요 투자은행과 에너지 회사들의 자본력을 바탕으로 Continental Power Exchange Inc. 를 인수하여 설립한 거래소 그룹입니다.
이후, IPE (International Petroleum Exchange, 국제석유거래소), NYBOT (New York Board Of Trade, 뉴욕상품거래소), NYSE Euronext (뉴욕증권거래소) 등의 거래소 인수합병을 통하여, 에너지, 소프트 원자재 (설탕, 커피, 원면 등), 금융파생상품 등의 상품군을 확대하여 구미(歐美)권의 대형 거래소로 성장하였습니다.
국내에서 가장 거래가 많이 이루어지는 ICE 거래상품은 ICE US 의 소프트 원자재 파생상품과 ICE Europe 의 에너지 파생상품입니다.
ICE US (前 NYBOT) 의 주요 소프트 원자재 상품으로는 코코아 (Cocoa), 커피 (Coffee "C"), 원면 (Cotton No. 2), 설탕 (Sugar No. 11) 등이 있으며, 전세계에서 거래량이 가장 많은, 업계를 선도하는 소프트 원자재 상품 거래소이고, 미국 내 2번째로 큰 선물거래소입니다.
ICE Europe 의 주요 에너지 파생상품으로는 브렌트유 (Brent Crude), WTI Crude, 석탄 (Coal) 등이 있으며, IPE 인수 이후에도 다양한 에너지 파생상품을 상장하여 대표적인 에너지 상품 거래소로서 널리 알려져 있습니다.
또한, ICE 에서는 거래소에 상장되어 있는 장내의 에너지 파생상품뿐만 아니라, 장외로 거래되는 파생상품 (OTC) 의 청산 (Clearing) 업무로도 아주 유명합니다. 최근에는 유럽 내에서 탄소 배출권과 같은 기후 관련 파생상품의 거래량도 증가하고 있습니다.
5) HKEX
HKEX (Hong Kong EXchanges and clearing limited) 는 1999년 3월 중화인민공화국 홍콩특별행정구 재무부의 개혁안에 의거하여 기존의 SEHK (the Stock Exchange of Hong Kong limited, 홍콩증권거래소) 와 HKFE (Hong Kong Futures Exchange limited, 홍콩선물거래소), 그리고 HKSCC (Hong Kong Securities Clearing Company limited, 홍콩증권청산소) 를 하나의 단일 지주회사로 출범하게 되었습니다.
HKEX 는 2000년대 중반, 중국 본토 대형 기업들이 대거 홍콩의 주식시장에 상장함에 따라 전세계의 주목을 받기 시작했습니다. 중국의 금융시장이 개방하기 이전에는 중국 기업들이 외국인을 대상으로 자금을 조달하는 것이 어려웠기 때문에, 홍콩특별행정구 소재의 거래소를 이용하여 기업공개를 하게 되었습니다.
이에 따라, 전세계 글로벌 G2 인 중국의 기업들이 세계 금융시장이라는 무대에 진출하게 되었고, 자연스럽게 상장된 중국 기업들로 구성되는 H-shares index (HSCEI, the Hang Seng China Enterprises Index) 가 Fund 시장에서 많은 관심을 받게 됩니다.
HKEX 의 대표 상품은 역시 중국 경기와 흐름을 같이 하는 대표 지수 상품인 H-shares Index (HSCEI) Futures 입니다. H-shares Index 선물 상품은 SGX 에 상장되어 있는 FTSE China A50 index 선물 상품과 함께 중국 관련 양대 지수 파생상품으로서, 중국 위안화로 발행된 중국 주요기업들의 주식이 홍콩의 Hangseng Index 社가 산출하는 수치를 기초자산으로 하여 상장된 장내 지수파생상품입니다.
최근에는 파생상품에 대한 거래 다변화를 위하여, 2012년 12월 영국의 대표적인 비철금속 거래소인 LME (London Metal Exchange, 전세계 비철금속 거래량의 70% 이상) 를 인수하였고, 이를 통해 유럽 원자재 시장에서 중국계 자금이 크게 주목을 받기도 하였습니다.
2. 전세계 주요 해외선물 거래소 요약
거래소 | 대륙 | 본사 소재국 | 소재도시 | 주요 상품군 |
CME Group (Chicago Mercantile Exchange) | 북미 | 미국 (USA) | 시카고 (Chicago, Illinois) | 에너지, 금속, 농축산물, 지수, 금리, 통화 등 |
EUREX (EURopean EXchange) | 유럽 | 독일 (Germany) | 에쉬본 (Eschborn, Hesse) | 지수, 금리 등 |
SGX (SinGapore eXchange) | 아시아 | 싱가포르 (Singapore) | 싱가포르 (Singapore) | 지수, 통화 등 |
ICE (InterContinental Exchange) | 북미, 유럽 | 미국/영국 (USA, UK) | ICE US : 애틀란타 (Atlanta, Georgia) ICE Europe : 런던 (London, UK) | 에너지, 농산물, 지수 등 |
HKEX (Hong Kong EXchange) | 아시아 | 홍콩 (HongKong) | 싱가포르 (Singapore) | 지수, 통화 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