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신 필진 칼럼/주식/증권/HTS

#7400 통합차트 4탄! 이동평균선 설정 방법과 주가라인 보조선 설정하기 - 전희진의 HTS 공략

#7400 통합차트 4탄! 이동평균선 설정 방법과 주가라인 보조선 설정하기

- 전희진의 HTS 공략



안녕하세요~! ^^ 전희진입니다. 


지난 시간에는 ‘[#7400] 통합차트’화면에서

지표를 추가하는 법 등 몇 가지 설정방법을 설명해드렸습니다.

기억이 안 나신다면 다시 클릭~!! ^^



오늘은 7400 통합차트 화면의 네 번째 시간인데요.

이동평균선 설정 방법과 몇 가지 차트 설정방법을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그럼, 차트화면을 먼저 불러와볼까요?


화면번호 입력란에 통합차트 화면번호인 ‘7400’을 입력해서

간편하게 화면을 불러오시거나

다음과 같이 메뉴줄의 ‘차트/검색 > 7400 통합차트’를 클릭해

화면을 불러오시면 됩니다.




 통합차트 화면 이동평균선 설정하기 

이번에는 이동평균선 설정을 해보려고 해요.

현재 주가차트에 나타나있는 가느다란 여러 색상의 선이 보이시나요?

바로 주가가 이동한 수치를 평균하여 그린 선인데요,

이 이동평균선의 색상이나 너비도 설정할 수 있고, 

새로운 이동평균선을 만드실 수도 있답니다. 

차트를 볼게요.



MACD, 외국인 투자지표 등을 모두 삭제하고,

주가차트 안에 있는 일목균형표도 삭제한 차트의 모습입니다.


주가차트의 봉 사이로 가느다란 실선이 그려져있는 게 보이시지요?

저는 이 중에서 120일 이동평균선의 너비를 두껍게 지정해보려고 합니다.

차트 인덱스에서 ‘MA_종가,120’이라고 적혀있는 것이 120일 이동평균선입니다. 

다음과 같이 해당 글자를 더블클릭하거나, 글자에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해보세요.



‘MA_종가,120 속성’ 이라는 목록을 마우스로 선택하시면

다음과 같은 속성변경창(설정창)이 뜹니다.



이 부분은 조금 전에 보조지표를 설정할 때에도 보셨죠?

저는 라인의 너비를 설정할 것으므로, ‘라인 설정’탭을 선택하겠습니다.

 


그리고 나서, ‘너비’ 부분을 조금 두껍게 설정하고,

‘확인’ 버튼을 누릅니다.



자, 그렇게 하면 위에 보시는 것과 같이 

120일 이동평균선인 파란색 실선의 너비가 

조금 두껍게 설정이 됩니다. ^^


이번에는 새로운 이동평균선을 추가해볼까요?


주가차트 상단을 보시면 

와 같은,

현재 주가차트에 표시된 이동평균선 종류를 알 수 있습니다.

5, 20, 60, 120, 200일 이동평균선이 각각의 색상으로 나타나있는데요.

저는 이 중에 포함되지 않은 500일 이동평균선을 만들어보려고 합니다.


먼저 차트화면 오른쪽 상단의 설정버튼인 버튼은 눌러주세요.

그럼 다음과 같은 차트설정창이 뜹니다.


 

위의 설정창에 다양한 탭이 표시되어있는데요.

이 중 ‘이동평균’ 탭을 선택하여 이동평균선과 관련된 설정을 하실 수 있습니다.

 


‘이동평균’ 탭을 선택했어요.

가격 이동평균 부분을 보시면, 평균값 5, 20, 60, 120, 200 값이 나와있네요.

이곳에 새로운 값을 입력하여 새 이동평균선을 만들 수 있는데요.

다음과 같이 입력하면 500일 이동평균선을 만들 수 있어요.



먼저 ‘표시’ 칸에 체크(√) 하신 후, ‘평균값’ 칸에는 숫자로 ‘500’을 입력하세요.

그리고 버튼을 누르시면 차트에 다음과 같이 나타납니다.

 


빨간색 박스로 표시한 부분에, ‘MA_종가,500’이 생성된 것 보이시나요?

주가차트 안에 빨간색 타원으로 표시한 부분을 보시면,

500일 이동평균선이 연한 하늘색으로 표시된 것을 확인하실 수 있을 거예요. ^^

이렇게, 새로운 이동평균선을 추가하실 수 있습니다. ^^


그렇다면 추가한 이동평균선을 삭제하려면 어떻게 해야할까요?

주가차트 상단의 차트 인덱스  

부분을 보시면 각각의 이동평균선이 표시가 되어있는데요.

삭제하고자 하는 이동평균선 이름을 마우스 오른쪽 버튼으로 클릭하시면 

다음과 같은 목록이 나타납니다.

 


‘삭제’ 라는 목록이 보이시죠? 

이 목록을 마우스로 선택하면 이동평균선을 삭제하실 수 있습니다.

(다른 보조지표 삭제 방법과 동일해요. ^^)

이렇게 이동평균선을 삽입, 설정변경, 삭제하는 방법을 알려드렸습니다.



 주가라인 보조선 설정하기 

이번에는 차트 화면에 다양한 보조선을 설정하는 방법을 알려드릴게요. 

바로 ‘주가라인 보조선’이라는 기능인데요. ^^

예를들어, 매일 장이 시작할 때, 전일의 종가를 자동으로 ‘보조선’을 통해

표시해 주는 기능이 있다면?

또는 매일 장이 시작할 때의 시가가 차트에 자동으로 표시되는 기능이 있다면?


당일의 시가, 고가, 저가, 종가 뿐만 아니라, 전일의 시, 고, 저, 종가, 

또한 사용자가 지정한 6개의 값, Pivot, Demark 등의 값에

자동으로 보조선을 그려주는 기능이 ‘주가라인 보조선’이라는 기능입니다.


설정하는 방법은 매우~! 간단해요. ^^


먼저 차트의 바탕화면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합니다.

그러면 다음과 같이 나타나요.



나타난 목록 중, ‘주가라인 보조선 설정’이라는 목록이 보이시나요?

해당 목록을 마우스로 선택해주세요.

그럼 다음과 같은 창이 나타납니다.

 


보조선으로 나타내고자 하는 항목의 앞에 체크(√) 표시를 해주시고,

해당 항목 오른쪽의 색상 지정, 선의 스타일이나 너비 지정을 해주시고,

‘확인’ 버튼을 누르면 됩니다. 

저는 다음과 같이 설정해볼게요. ^^

 


빨간 박스 안을 보시면 저는

전일 ‘종가’에 체크를 하고 너비를 두껍게 조정했습니다. 

또 ‘수치표시’ 앞에도 체크를 해서 수치가 나타나게끔 설정했어요.

이제 버튼을 눌러보겠습니다. 

 


주가차트 안에 나타난 두꺼운 점선~ 보이시나요?

왼쪽 하단에는 수치(1,299,000)도 표시가 되어있네요.

바로 전일종가에 자동으로 라인이 그려진 거랍니다.


날짜가 바뀌어서, 전일종가가 바뀌게 되면 

자동으로 바뀐 ‘전일종가’에 라인이 그려집니다. 

매일 전일종가 라인을 따로 그릴 필요가 없어서 참 편리하겠지요? ^^


라인을 삭제하고자 할 때는?


다시 ‘주가라인 보조선 설정’ 으로 들어가셔서,

삭제하고자 하는 라인의 앞에 체크(√)를 없애주세요. 다음과 같이요. 



종가 앞에 체크를 없애고, 버튼을 누르시면 해당 보조선이 삭제됩니다.



자, 이렇게 해서 오늘은 #7400 통합차트의 이동평균선 설정 방법과

주가라인 보조선 설정 방법을 알려드렸습니다.


통합차트의 기능, 여기서 끝이냐고요~?

무슨 그런 섭섭한 말씀을~^^ 아직 무한한~~ 

통합차트의 기능이 많이 기다리고 있습니다.


그렇다고 어려워 마시고, 하나하나 실습해보세요~

금방 익히실 수 있는 내용이랍니다. ^^

다음 시간에는 매물부담차트 설정법, 차트 색상 등 여러 설정사항을 

변경하는 방법을 알려드릴게요.


대신증권의 사이보스와 함께 따뜻한 겨울 보내세요~

금방 또 찾아오겠습니다~ 그럼 다음시간에 뵐게요~ 휘리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