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400 통합차트 6탄! 추세선 사용 및 관리하기 – 전희진의 HTS 공략
안녕하세요~! ^^ 전희진입니다.
지난 시간에는 '[#7400] 통합차트'화면에서
매물부담차트 및 차트 색상 설정방법을 설명해드렸습니다.
기억이 안 나신다면 다시 클릭~!! ^^
오늘은 7400 통합차트 화면을 설명 드리는 것으로는 여섯 번째 시간인데요.
추세선 기능에 대한 설명을 드리는 첫번째 시간으로 꾸며나가려고 해요.
추세선 기능이 워낙 많아서 오늘 하루로는 부족할 것 같아서 시간을 나눠봤어요. ^^
그럼, 차트화면을 먼저 불러와볼까요?
화면번호 입력란에 통합차트 화면번호인 '7400'을 입력해서
간편하게 화면을 불러오시거나
다음과 같이 메뉴줄의 '차트/검색 > 7400 통합차트'를 클릭해
화면을 불러오시면 됩니다.
추세선 서브 툴바 나타내기
7400 통합차트 화면을 불러오면 나타나는 화면을 보시면 종목코드번호를 넣는 칸 바로 아래에 추세선을 긋는 도구들을 보실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도구들이에요.
제가 빨간색으로 표시한 버튼들이 추세선을 긋는 도구들이랍니다.
혹시 이 도구들이 통합차트 화면 상단에 안 나타나는 분들이 계신가요?
이 부분을 '서브 툴바'라고 하는데요. 서브툴바를 표시하지 않게끔 설정되어 있는 분들이라면
추세선 도구들이 안 나타나 있을 거예요.
이 때, 서브 툴바를 표시하려면?
차트화면 맨 왼쪽 상단에 보시면 라는 버튼이 보이실거예요.
이 버튼의 왼쪽에는 이러한 모양의 아래를 향하고 있는 화살표 버튼이 있답니다.
이 버튼을 눌러주시면 추세선 도구들이 나오는 서브 툴바를 표시하실 수 있어요.
추세선 종류와 사용법
먼저 추세선을 긋는 도구들을 살펴볼게요.
와! 정말 많네요. 각각의 버튼은 어떤 추세선일까요?
먼저 추세선은 직선을 그릴 수 있는 추세선이에요. Trend Line 이라고도 부르죠. 주로 저항선이나 지지선과 같은 추세선을 그릴 때 사용하는데요. 한 번 그려볼까요?
버튼을 누르면 다음과 같은 창이 떠요.
추세선을 긋기 전, 어떠한 방식으로 그릴 것인지를 설정하는 창입니다.
좌측 연장을 선택하면 말 그대로 추세선의 좌측 라인을 연장하여 그리는 거고요.
종가에 자동 연결은, 추세선을 그리기 시작하는 지점과 끝나는 시점의 해당 일자 종가에
라인이 자동으로 연결되게끔 하는 설정이랍니다.
그럼 고가/저가에 자동 연결은 무엇일까요? 너무 쉬운 질문이지요?
해당 일자의 고가 또는 저가에 자동으로 추세선이 연결되게끔 하는 설정이에요.
저는 '종가에 자동 연결' 앞에만 체크를 해서 선택하고 확인버튼을 누를게요.
마우스 포인터가 펜 모양으로 바뀌면, 추세선을 그리기를 원하는 곳에 놓고 클릭한 후
드래그 앤 드롭 하세요.
※ 드래그 앤 드롭이란? 마우스 버튼을 클릭한 상태에서 손을 옆으로 쭉~ 끌어서 원하는 만큼 추세선을 그리고, 클릭한 손을 놓는 방식이에요. '쭉~ 끄는 것'을 '드래그'라고 하고, '손을 놓는 것'을 '드롭'이라고 하지요.
그렇게 하면 이렇게 추세선이 그려집니다.
제가 빨간색 원으로 표시한 부분이, 방금 그린 추세선이에요. 어렵지 않지요?
추세선을 그었는데, 추세선이 너무 얇아서 차트에 있는 이동평균선과 같은 다른 선들과
조금 헷갈리네요. 추세선의 너비나 색상을 설정해볼까요?
추세선을 마우스로 클릭한 후,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눌러볼게요.
위와 같은 추세선 속성 목록이 나와요.
이 중에 '추세선 속성'을 선택하면 다음과 같은 속성창이 뜨지요.
추세선 속성 창에서 추세선이 시작된 날짜와 종료된 날짜,
시작 값, 종료 값을 확인할 수 있고 수정도 할 수 있어요.
저는 추세선의 색상과 너비를 조절할 것이기 때문에
속성창 상단의 '색상/형태' 탭을 클릭할게요.
색상/형태 탭에서 추세선의 색상과 스타일, 너비를 설정할 수 있는데요.
색상을 빨간색 그대로 두고, 저는 너비만 조금 두꺼운 것으로 지정해볼게요.
확인 버튼을 누르면?
위에 보시는 것과 같이 추세선의 너비가 조금 더 두껍게 바뀌었죠? ^^
이렇게 설정을 하시면 됩니다.
이번에는 추세선 도구 중에 수평선을 한 번 그려볼게요.
추세선 도구 버튼들 중에서 모양의 버튼이 수평 추세선을 긋는 도구랍니다.
주로 주가의 위치를 표시하는 수평선을 그릴 때 많이 사용해요.
예를 들어, 이 종목의 7,300원 위치에서 매수를 해서, 해당 위치를 표시하고 싶다면?
7,300원 위치에 수평 추세선을 그리면 매수가격을 파악하기에 쉽겠지요?
버튼을 누르고, 마우스 포인터가 펜 모양이 되면, 그리고자 하는 위치에 마우스로 클릭합니다. 그러면 수평 추세선이 바로 그려져요.
빨간 박스로 표시한 부분에 수평 추세선이 그려진 것 보이시죠?
조금 전과 같은 방법으로 너비를 두껍게 지정할 수도 있고, 색상을 변경할 수도 있답니다.
추세선 그리는 도구 중,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추세선을 하나 더 알려드릴게요.
바로 '구간분석 추세선' 이라는 건데요.
사용자가 추세선을 그린 구간을 분석해서 데이터를 보여주는 추세선이랍니다.
바로 이 모양의 버튼이에요. 해당 버튼을 클릭하면 다음과 같은 설정창이 떠요.
저와 같이, '주가차트 구간분석'을 선택한 후 '확인' 버튼을 눌러주세요.
마우스 포인터가 펜 모양으로 바뀌면,
구간을 분석하고자 하는 범위를 마우스로 드래그 앤 드롭해주세요.
저는 첫번째 Trend Line을 그렸던 구간을 한 번 선택해볼게요.
자~ 구간분석 추세선을 그린 부분이 확인되시나요?
2013/09/25~2013/12/23 구간을 마우스로 그래그 앤 드롭 했는데요.
차트 아랫부분에 구간에 대한 분석값이 네모칸 안에 표시가 됩니다.
빨간 박스로 표시된 부분을 조금 더 자세히 볼게요.
제가 구간분석 추세선 도구로 선택한 구간의 일자가 표시되고요.
전체 몇 개의 봉을 선택했고, 그 중 상승봉의 개수와 하락봉의 개수를 표시합니다.
시작봉의 종가, 최종봉 종가를 표시하고,
시작봉부터 최종봉까지 몇 %가 상승 또는 하락했는지 %와 값을 표시합니다.
그 외에도 구간의 최고/최저/평균/중간값도 보여주네요. ^^
추세선을 그리는 방법. 이제 아셨죠?
추세선을 삭제하고자 할 때에는 삭제하고자 하는 추세선에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누르고
위의 목록 중 '삭제'를 선택하면 삭제가 됩니다.
차트에 그린 전체 추세선을 삭제하시려면,
추세선 도구들 중에 이 모양의 버튼을 누르시면 되는데요.
한 번 눌러볼까요?
네~ 제가 오늘 그린 세 개의 추세선이 모두 말끔히 사라졌네요. ^^
※ 추세선 도구들에 대해 더 알고 싶으신가요? '[8812] CYBOS 도움말' 화면에서 '[7406] 전략차트'를 검색하여 확인하실 수 있는데요.
'2. 화면설명 > [5] 추세선 도구모음 > 추세선의 종류 보기'로 들어가시면 추세선 도구들에 대한자세한 설명을 보실 수 있으니 참고하세요~! ^^
추세선 관리하기 및 저장하기
추세선은 종목마다, 또는 차트의 주기마다 따로 작성하여 저장할 수 있는데요.
추세선 저장 기능을 사용해야 다음에 차트를 불러와도 저장된 상태 그대로 불러오실 수가 있어요.
추세선 저장 기능을 사용하시려면 차트 설정창에서 '추세선 저장 기능 사용'을 선택해야 합니다.
차트 화면 오른쪽 상단의 버튼을 눌러 차트 설정창을 띄워주세요.
차트설정창 상단에서 '편리한 기능' 탭을 선택하면,
위의 설정창을 보실 수 있는데요.
왼쪽 중간쯤에 보시면 '추세선 저장 기능'이라는 항목이 있지요?
이곳에 체크(√)해주셔야 추세선 저장 기능이 사용됩니다.
추세선은 종목마다, 또는 주기마다 다르게 그리기 때문에,
추세선을 각 종목에 어떻게 그렸는지 모두 기억하기가 힘든데요.
'추세선 정보 관리'를 이용하면, 어느 종목에 어떤 추세선을 그렸는지 관리가 가능하답니다.
추세선 도구들 중에서 이 버튼이 추세선 정보 관리 버튼입니다.
한 번 눌러볼게요.
추세선 정보가 두 개 저장이 되어 있네요.
저는 대신증권 일간차트에 4개의 추세선을 그렸고요,
삼성전자 주간차트에 3개의 추세선을 그렸네요.
각각 따로 선택해서 버튼을 누르면 삭제하실 수 있고요.
버튼을 누르면 추세선 정보 전체를 삭제하실 수 있답니다.
그 외에 저장하기, 불러오기 등의 메뉴로 추세선 정보를 저장하고 불러올 수 있어요. ^^
자, 이렇게 해서 오늘은 #7400 통합차트의 추세선 사용법과
설정 및 저장 방법을 알려드렸습니다.
[7400] 통합차트는 추세선 기능만 해도 내용이 참 많아요.
다음 시간에도 추세선 기능을 마저 설명해드릴게요. ^^
이제 봄이 오는 소리가 들리네요.
대신증권의 사이보스와 함께, 포근한 봄 맞이하세요~
저는 금방 다시 올게요~^^ 휘리릭~!!
[관련포스트]
#7400 통합차트 1탄! 종목 불러오기, 차트 설정방법 - 전희진의 HTS 공략
#7400 통합차트 2탄! 차트화면 공통 버튼과 지표 추가하기 - 전희진의 HTS 공략
#7400 통합차트 3탄! 가격지표 추가방법과 지표 설정하기 - 전희진의 HTS 공략
'대신 필진 칼럼 > 주식/증권/HTS'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4 상반기 CYBOS5 업그레이드 소개편 – 전희진의 HTS 공략 (4) | 2014.05.22 |
---|---|
#7400 통합차트 7탄! 추세선 사용법 및 툴바, 현재가 필드 편집하기 – 전희진의 HTS 공략 (0) | 2014.04.08 |
시장은 지금 '차별화' 바람이 분다! 업종별 테마와 해외시장 분석 - 박종희의 증시 분석 (0) | 2014.03.06 |
#7400 통합차트 5탄! 매물부담 차트 설정법과 차트 색상 변경 - 전희진의 HTS 공략 (0) | 2014.02.12 |
#7400 통합차트 4탄! 이동평균선 설정 방법과 주가라인 보조선 설정하기 - 전희진의 HTS 공략 (0) | 2014.02.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