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신 필진 칼럼/주식/증권/HTS

주식 주문 화면 ? 주식주문 기본화면 사용하기 - 전희진의 HTS 공략

 

안녕하세요~! ^^ 지난 시간에는 사용자가 등록한 관심종목의 시세와

다양한 정보를 한눈에 볼 수 있는 관심종목 조회 화면의 사용법에 대해 설명을 드렸었죠?

복습 많이 하셨나요? ^^

종목의 시세와 정보를 보는 방법을 배웠으니, 이제는 주식을 주문하는 방법을 알려드리려고 해요.

그럼 오늘은 사이보스의 주식 주문화면 사용법을 한 번 알아볼까요? ^^

 

 

 

U-CYBOS Global 프로그램에는 수많은 주문화면이 있어요.

주식주문 기본 화면부터, 빠른 주문을 위해 클릭만으로 주문을 할 수 있는 클릭주문 화면,

그리고 설정해놓은 조건에 맞춰 자동으로 매수매도가 가능한 화면까지…

 

그럼 사이보스에서 제공하는 주문화면은 어떤 것들이 있는지,

메뉴줄에 있는 주문화면 목록을 먼저 살펴볼까요?

 

 

 

메뉴줄에서 '주문' 메뉴를 선택하면, 아래와 같은 주문화면 목록이 나타납니다.

 

 

참 다양한 주문화면이 있지요?

 

'[0311] 주식매도주문' 화면부터 '[5371] 선물/옵션 금일(일자별) 주문체결 현황' 화면까지는

자주 사용하는 주문화면을 불러오기 편하도록 목록 위에 따로 모아둔 것입니다.

 

그 아래의 '주식주문'부터 가장 아랫줄의 '기타상장증권매매'까지는

오른쪽에 있는 표시가 있죠?

이 표시는 해당 목록과 관련한 화면이 여러 개 존재한다는 뜻입니다.

 

표시에 마우스를 갖다 대면 다음과 같이 관련 화면 목록이 오른쪽에 나타납니다.

 

 

'주식주문' 화면 목록을 확인할 수가 있네요. 사용하고자 하는 화면의 이름을 클릭하면,

화면을 불러올 수 있다는 것쯤은 모두 알고 계시죠? ^^

 

 

 

위에서 살펴본 사이보스의 수많은 주문화면들 중 가장 기본이 되는 주문 화면부터 설명 드릴게요.

주문화면 목록 중 가장 윗줄에 많이 사용하는 화면을 모아두었다고 말씀드렸는데요.

'[0301] 주식매수주문' 화면부터 한 번 살펴보죠.

 

그럼 먼저 화면을 불러와 주세요.

화면 왼쪽 상단의 화면번호 입력란에 '0301' 화면 번호를 입력하시거나,

조금 전에 살펴본 메뉴줄에서 해당 화면명을 클릭해서 불러오실 수 있답니다.


 

 

 또는,

 

 

편한 방법으로 '[0301] 주식매수주문' 화면을 불러오셨다면,

다음과 같이 주문화면이 나타날 거예요.

 

 

화면을 우선 살펴볼게요. 매수 주문화면은 전체적으로 붉은색(분홍색)을 띠고 있어요.

HTS에서는 기본적으로 매수화면은 붉은색으로, 매도화면은 푸른색(파란색)으로 표시합니다.

매수(사자)주문과 매도(팔자)주문은 글자 하나 차이지만, 결과적으로는 정반대의 성격인 주문이죠.

그래서 알아보기 쉽도록 색상으로도 표시한 거예요.

 

화면을 살펴보니 작은 버튼들이 참 많네요.

가장 먼저 매수주문 화면 오른쪽 상단에 있는  버튼을 클릭해볼까요?

 

 

 

짠! 

버튼을 클릭하고, 종목코드 입력란에 대신증권 코드번호를 입력했더니

화면이 커지면서 호가창이 나타나네요. 오른쪽에는 종목의 10차 호가를 보실 수 있고요.

아래로는 시간대별 체결현황을 볼 수 있네요. 이제  버튼이 무슨 기능을 하는지 잘 아시겠죠?

 

다른 버튼도 살펴볼게요.

 

 

 버튼은 화면을 작게 축소시키거나 다시 원상태로 복귀할 수 있는 버튼이에요.

그 오른쪽의  버튼을 클릭하면 다음과 같은 주문 설정창이 뜨는데요.

이곳에서 주문화면의 각종 표시와 입력사항을 설정할 수 있답니다.

 

 

설정창을 살펴보니, 가장 기본적인 주문화면인데도 불구하고

주문과 관련된 아주 다양한 설정을 할 수 있도록 되어있네요.

별로 어려운 내용은 없지만, 혹시 궁금하신 부분이 있으면

화면 오른쪽 상단의 버튼을 눌러 '도움말' 항목을 선택하면

각각의 항목이 의미하는 내용을 확인하실 수 있어요. ^^

 

다시 '[0301] 주식매수주문' 화면으로 돌아와서, 매수주문을 입력하는 방법을 설명 드릴게요.

 

 

 

 

1)  : 종목코드번호 입력란에 종목코드번호 또는 종목명을 입력합니다.

 

 

2)  : 매매구분, 조건을 지정합니다. 보통으로 되어있는 것은 지정가 주문을 뜻하는데요. 고객이 지정한 단가로 체결을 시키기 위한 주문을 말해요. 일반적으로 주문이라고 하면 보통주문을 이야기합니다.  

(매매구분 칸 오른쪽의  버튼을 클릭하면 매매구분과 조건을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는데요. 각각의 항목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역시 화면 오른쪽 상단의 버튼을 눌러 '도움말' 항목을 선택하면 '용어설명' 탭에서 보실 수 있답니다.)

 

 

3) 주문수량을 입력합니다. 수량입력 칸에 직접 수량을 입력하셔도 되고요. 오른쪽의  버튼을 클릭해서 수량 선택창에서 선택을 하셔도 됩니다.

 

 

또, 버튼을 클릭하면 계좌 잔고/평가 창이 생성되어 클릭만으로 수량입력이 가능하고요. 버튼은 매수가능 수량을 표시해주는 버튼으로, 버튼을 클릭한 후 기준단가를 입력하고 버튼을 누르면 다음과 같이 매수가능 수량을 계산해줍니다.

 

 

 

 

4) 주문단가를 입력합니다. 단가 입력칸에 직접 단가를 입력하셔도 되고,  버튼을 눌러 주문호가 선택창에서 호가를 클릭하셔도 됩니다. 호가를 클릭하면 단가란에 선택호가가 자동으로 반영이 되면서 주문이 바로 실행된답니다.

 

 

 

 

5) 주문단가 입력 단계에서 단가 입력 후 엔터키를 누르거나, 버튼을 클릭 시 주문이 실행됩니다. 위의 주문 입력확인창을 한 번 더 확인하신 후 버튼을 클릭하여 매수주문 하시면 됩니다.

 

주문하는 방법, 전혀 어렵지 않죠?

 

매수하고자 하는 종목 코드번호를 입력하고,

매매구분 선택, 수량입력, 단가입력, 매수버튼 클릭, 주문 입력확인!

까지 하시면 주문이 완료되는 거랍니다. ^^

 

이것보다 더~ 간단하게 매수를 하실 때에는

화면 가장 아래쪽에 있는 '금액매수'를 이용할 수 있는데요.

'금액매수'란 말 그대로 내가 매수하고자 하는 금액만큼만

주문을 실행하고자 할 때 사용하는 거랍니다.

 

예를 들면, 대신증권 주식을 약 175만원 어치만 매수를 하고 싶다면?

매수 가능한 수량을 따로 계산해서 수량을 입력해야 하잖아요.

 

그러실 필요 없이, 매수하고자 하는 금액을 '금액매수' 칸에 적으신 후에

 

 버튼을 클릭하시면, 해당 금액 만큼의 매수수량이

저절로 주문수량 칸에 입력된답니다. 한 번 해볼까요?

 

 

종목명과 단가 등을 입력한 후에, 금액매수 칸에 매수하고자 하는 금액을

숫자로 '1,750,000' 라고 입력을 한 후  버튼을 클릭한 후의 모습입니다.

수량 칸에 '170' 주가 저절로 계산되어 입력이 되었고요.

맨 아랫줄에 '주문금액' 칸에서 주문금액도 확인하실 수 있답니다.

그렇다면  버튼은? 한 번 클릭해볼까요?

 

 

 

 

주문 관련 비용을 상세하게 확인할 수 있는 버튼이네요.

매수 시 소요되는 수수료, 매도 시에는 수수료와 제세금을 포함한 비용을 확인할 수 있답니다.

 

매수주문 화면을 살펴보셨는데요. 이번에는 매도주문 화면을 살펴보려 합니다.

매수, 매도, 정정, 취소주문 화면은 모두 탭으로 화면이동이 가능해요.

즉, 화면을 따로 하나씩 불러올 필요 없이, 화면 하나만 불러오면

서로 '탭'이라는 버튼을 통해 다른 화면으로 이동할 수 있다는 뜻이랍니다.

 

매수주문 화면의 상단을 보시면 이러한 탭을 확인하실 수 있는데요. 원하는 주문 유형의 탭을 선택하면 해당 화면으로 이동합니다. 저는 탭을 클릭해볼게요.

 

 

 

아주 간편하게 매도주문 화면으로 이동했네요. ^^

물론 탭이동을 통해서가 아니어도 화면을 불러올 수 있답니다.

매도주문 화면 번호는 '0311'이기 때문에, 화면번호 입력란에 '0311'을 입력하거나,
메뉴줄에서 '[0311] 주식매도주문' 화면명을 클릭해 화면을 불러올 수 있겠죠?

 

자, 매도주문 화면을 한 번 살펴볼게요. 음.. 그런데, 살펴볼 게 없네요. 하하!

매수주문 화면과 너무 똑~같지요? 모든 항목이 똑같고, 색상만 바뀌었네요.

조금 아까 말씀드렸다시피, 매수주문 화면은 붉은색으로,

매도주문 화면은 푸른색으로 표시가 되어있네요.

 

매수주문 화면과 마찬가지로 매도주문 화면에도 '금액매도'라는 칸이 있어서,

매도하고자 하는 금액을 입력하면 자동으로 그만큼의 수량이 입력된답니다.

 

또한 수량입력란 오른쪽의  버튼을 눌러, 내가 보유하고 있는 잔고를 바로 확인한 후

매도주문을 실행할 수 있답니다.  버튼을 누르면 다음과 같이 보유 잔고와

매도가능수량, 평가금액, 손익 등의 정보가 조회됩니다.

 

매도를 원하는 종목명을 더블클릭하시면 해당 종목과 매도가능수량이

'[0311] 매도주문화면'에 자동으로 반영됩니다.

 

 

 

 

 

주식주문 기본 화면 중 매수주문 화면과 매도주문 화면에 대해 알아봤어요.

별로 어렵지 않으셨죠? 정정주문, 취소주문 화면은 지금까지 배웠던 것보다

훨씬 더 간단하답니다. 한번 살펴볼까요?

 

매수주문 화면에서 매도주문 화면으로 탭을 이용해 이동했던 것과 같이,

정정주문 화면, 취소주문 화면도 탭이동이 가능합니다.

 

화면 상단의 탭()에서

'정정' 또는 '취소' 탭을 클릭하여 이동하실 수 있고요.

각각의 화면 또한 화면번호가 부여되어 있기 때문에,

화면번호 등으로 화면을 불러오실 수 있겠죠?

(정정주문 화면번호 : 0313 / 취소주문 화면번호 : 0314)

 

먼저, 정정주문 화면입니다.

 

 

 

 

종목코드번호 입력란이나 수량, 단가 입력란은 이전 화면과 동일한데 조금 다른 부분이 있지요? 화면을 한번 살펴보면서 정정주문 방법을 알아볼게요.

 

1)  : 이곳에는 주문번호를 입력합니다. 주문이 실행될 때마다 주문번호가 부여되는데요. 정정주문을 하고자 하는 주문의 번호를 입력하는 칸입니다. 주문번호를 모르신다면, 오른쪽에 있는 버튼을 이용하시면 되는데요. 버튼을 누르면 미체결 잔량이 조회되며, 정정하고자 하는 내역을 더블클릭하게 되면, 주문번호와 종목명, 미체결 잔량이 자동 입력됩니다.

 

 

2) 수량 : 정정하고자 하는 수량을 입력하는 칸입니다.  버튼을 클릭하면 수량 선택창이 생성되어 클릭만으로 간단히 수량입력을 할 수 있습니다.

 

3) 단가 : 정정하고자 하는 단가를 입력하는 칸입니다.  버튼을 클릭하면 주문호가 선택창이 생성되고, 호가 클릭 시 단가란에 선택호가가 자동 반영되며 주문이 바로 실행됩니다.

4) 해당 항목을 모두 입력한 후 엔터키를 누르거나, 버튼을 클릭하면 주문이 실행됩니다.

 

위와 같은 방법으로 정정주문을 실행하시면 됩니다.

단, 정정주문을 실행하실 때 몇 가지 주의사항이 있는데요. 다음을 참고해 주세요~^^

 

 

  • 주의사항

 

1) 정정 시는 주문단가만 정정(가격정정)이 가능하며 주문 자체의 취소는 "[0314]주식취소주문"

   화면에서 실행해주세요.

 

2) 정정주문 입력 후 정정확인이 되어야만 정정주문의 호가의 효력이 발생합니다.

 

3) 잔량 정정 시 원주문 수량에서 이미 체결된 수량이 있으면 그 수량만큼 차감된 나머지 수량에 

    대해 정정주문이 나가게 됩니다.

 

4) 정정주문 입력 중이나 완료 전후에 이미 체결이 되었으면 정정주문은 호가의 효력이 없어집니다.

 

5) 정정주문 시 증거금은 원주문 단가보다 높게 정정하는 경우에는 그 차액만큼을 더 징수하고, 

   낮게 정정하는 경우에는 정정확인 시 차액만큼 증거금이 해지됩니다.

 

6) 정정주문은 고객이 PC로 입력한 주문 건에 대해서만 가능하며 거래 영업점에서 입력한 주문 

    건은 거래 영업점에서만 가능합니다.

 

7) 정정주문 및 정정주문에 대한 확인은 "[5341]실시간 주문/체결 조회"에서 반드시 확인 바랍니다.

 

 

 

 

자, 이번에는 주식취소주문 화면에 대해 설명 드릴게요. 이제 또 말씀드리지 않아도

취소주문 화면으로 쉽게 이동하실 수 있겠죠? ^^

화면 상단의  탭에서  탭을 누르면 '[0314] 주식취소주문' 화면으로 이동합니다.

 

 

 

취소주문 화면을 살펴보니, 정정주문 화면보다도 더 간결합니다.

이유는 취소주문은 '단가'를 입력할 필요가 없어서인데요. 왜 그럴까요? ^^;

하하! 너무 당연한 질문을 드렸죠?

주문입력 후에 주문의 일부나 전부를 취소하고자 할 때 사용하는 화면이므로

'단가'를 입력할 필요가 없겠죠?

 

취소주문 방법을 간단히 나열해보면,

 

 1)   : 주문번호를 입력합니다. 정정주문 화면과 마찬가지로  버튼을 누르면 미체결 잔량이 조회되며, 취소하고자 하는 내역을 더블클릭하게 되면, 주문번호와 종목명, 미체결 잔량이 자동 입력됩니다.

 

2) 수량 : 취소하고자 하는 수량을 입력합니다. 잔량 취소 시 미체결 잔량 전부를 입력하거나 취소수량을 "0"으로 입력하면 전체 수량에 대한 취소주문이 실행됩니다

3) 해당 항목을 모두 입력한 후 엔터키를 누르거나, 버튼을 클릭하면 주문이 실행됩니다.

 

위와 같이 간단한 방법으로 취소주문을 실행하실 수 있습니다.

아래의 취소주문 시 주의사항도 꼭 확인해주시고요. ^^

 

 

  • 주의사항

 

1) 취소주문 입력 후 취소확인이 되어야만 취소주문의 호가 효력이 발생합니다.

 

2) 취소주문 입력 중이나 완료된 후에 이미 체결이 되었으면 취소주문은 호가의 효력이 없어집니다.

 

3) 잔량 취소 시 원주문 수량에서 이미 체결된 수량이 있으면 그 수량만큼 차감된 나머지 수량에 대해 취소주문이 나가게 됩니다.

 

4) 취소주문 시 취소확인이 되어야만 증거금이 풀리게 됩니다.

 

5) 정규시장 종료 후 시간 외 시장이 개시된 후에 본 화면을 이용하여 취소주문을 내면 즉시 해당 원주문에 대한 증거금이 해지되어 시간외 시장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6) 취소주문은 고객이 PC로 입력한 주문 건에 대해서만 가능하며 거래 영업점에서 입력한 주문 건은 거래 영업점에서만 가능합니다.

 

7) 취소주문 및 취소주문에 대한 확인은 "[5341]실시간 주문/체결조회" 에서 반드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자, 주식주문 화면은 사이보스에서 제공하는 화면들 중 가장 사용법이 쉬운 화면이기도 합니다.

하지만 우리가 HTS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가장 큰 이유 중의 하나가

직접 매매주문을 넣기 위한 것이기 때문에 가장 중요한 화면이라고 할 수 있겠죠?

 

혹시 오늘 내용이 어렵다고 생각하신다면, 처음부터 끝까지 천천히 읽어보시면서

실습을 꼭~ 해보시기 바랄게요. ^^

단, 주문 화면이기 때문에 실습하실 때 되도록이면 모의투자 계좌를 이용하시거나,
엉뚱한 주문이 나가지 않도록 신경 쓰셔야 한다는 거 잊지 마시고요~^^

 

오늘은 사이보스에서 제공하는 수많은 주문화면들 중,

가장 기본이 되는 본주문 화면을 다뤘는데요.

다음 시간에는 특화주문 화면에 대해 설명 드릴 테니까 기대해주세요~^^

봄 향기가 물씬 나는 포근한 날 또 찾아올게요~ 휘리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