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사적 제257호 운현궁을 소개하려고 합니다.
이곳은 조선 26대 임금인 고종이 등극하기 전에 살았던 잠저로서,
생부 흥선대원군 이하응의 집이에요. 흥선대원군은 이곳을 무대로 10여 년간 집정하면서
어린 아들을 대신해서 정치를 했는데요.
서운관이 있던 고개에서 유래된 지명을 따서 운현궁이라 불렸어요.
1864년(고종1)에 노락당과 노안당을 짓고, 1869년(고종6)에
이로당과 영로당(서울특별시 민속자료 제19호)을 세웠어요.
창덕궁을 쉽게 드나들도록 고종 전용 경근문과 흥선대원군을 위한 공근문을 두었으나
지금은 남아있지 않아요. 1912년에는 양관을 세워 손님을 맞는 곳으로 사용하였답니다.
정문에 들어서면 우측에 바로 수직사가 보이는데요.
경비와 관리를 담당했던 사람들이 거처했던 곳이에요.
당시의 운현궁은 상당히 넓었을 뿐만 아니라 고종이 왕으로 즉위하면서
궁에서 관리와 경비가 파견되는 등 거주 인원이 많았어요.
지금 규모는 많이 줄어든 상태로 보존되어 있어요.
내부에는 그때 당시의 물품이나 인물들의 모형이 있어 좀 더 실감 났어요.
수직사를 지나면 노안당이 나오게 되는데요.
운현궁의 사랑채로 정면 6칸, 측면 3칸으로 구성되어 있는 전형적인 한식 기와집이에요.
처마 끝에 각목을 길게 대어 차양을 단 수법은 그 시대적 특징이에요.
노안당은 흥선대원군이 거처한 곳으로
고종 즉위 후 주요 개혁정책이 논의되었던 역사적 장소에요.
'노안당'이란 현판은 공자가 '노자(老者)를 안지(安之)하며'라고 한 <논어>의 글에서
인용한 것으로 대원군이 아들이 왕이 되어 자신의 노년을 편안하게 살게 되어 흡족하다는 뜻과
노인들을 편하게 모셔야 된다는 치국의 이념을 갖고 있어요.
현재 노안당의 편액은 2006년 문화재청의 허가를 받아
중요무형문화재 제106호 오옥진 각자장에 의해 모각되어 게시된 편액이며,
원편액은 서울역사박물관에서 보관하고 있어요.
다음은 노락당인데요.
노락당은 운현궁에서 가장 크고 중심이 되는 건물로 정면 10칸, 측면 3칸의 규모에요.
1866년(고종3) 삼간택이 끝난 후 명성황후가 왕비 수업을 받던 곳이자
고종과 명성황후의 가례가 행해진 곳이기도 해요.
노락당은 초익 양식의 사대부가 건축미를 느낄 수 있으며,
아름다운 창살문양(불발기창호)이 그대로 남아 있어요.
지붕의 용마루를 받치고 있는 중도리에는 용문양이 그려져 있어
건물의 권위와 위상을 잘 보여주고 있어요.
운현궁 낙성식에 참여했던 고종이 대제학 김병학에게 '노락당기'를 지어
기념할 것을 지시했던 사실만으로도 노락당이 상징하는 의미를 짐작할 수 있어요.
당시 김병학은 노락당이 높아 하늘과의 사이가 한자 다섯 치 밖에 안 된다고 했는데,
다소 과장된 표현이기는 하지만 당시 흥선대원군의 권세가
천하제일이었다는 것을 나타내는 표현이라고 합니다.
1866년 노락당에서 고종과 명성황후의 가례가 치러진 이후,
노락당을 안채로 사용하기 어려워지게 되어 1869년(고종)에 새로운 안채로
이로당을 짓게 되었어요. 정면이 8칸, 측면이 7칸으로 되어 있습니다.
운현궁의 가장 왼쪽에 위치한 건물로서 노락당과 더불어 안채의 기능을 담당하고 있어
여자들만 살 수 있게 별도 공간을 형성하고 있는 철저한 금남지역으로
바깥 남자들이 쉽게 들어오지 못하도록 미음(ㅁ)자 모양으로 만들어졌어요.
이로당의 안주인은 운현궁 전체 안살림의 최고 책임자가 되었다고 합니다.
운현궁과 흥선대원군 관련 유물전시를 통해 역사 속의 운현궁이 지녔던 가치와
한국 근대사의 흐름을 파악할 수 있는 공간이 있어요.
다양한 문화체험을 할 수 있는 프로그램도 마련되어 있고,
전통의상을 대여해서 입어볼 수 있는 체험장도 있답니다.
운현궁에 다녀오고 나니 흥선대원군과 고종, 명성황후에 대해 궁금해졌어요.
교과서에서 접한 것 이외에 다른 정보가 없어 아쉬웠었답니다.
역사를 읽을 수 있는 장소를 방문하게 된다면 사전 공부를 하고 가면 좋겠다고 생각했어요.
관람 중에 초등학생들 그룹이 몇몇 보였는데 해설해주시는 분과 함께 관람 중이었어요.
저도 살포시 껴서 듣곤 했는데 좋은 정보들이 많았답니다. 역시 강의는 도둑강의가 재밌다는 ^^
흥선대원군이 세상을 떠난 후 큰아들인 이재면을 거쳐 손자 이준용에게 상속되었으나
한국전쟁 이후 상당 부분이 팔리면서 집의 규모가 크게 줄었어요.
적게나마 보존되어 있다는 것에 감사하며 관람을 하게 되었답니다.
건축답사를 할 때 조금은 꼼꼼하고 세심한 시선으로 보려고 노력을 많이 하는데요.
요즘같이 추운 날은 저의 빠른 눈과 발을 느낄 수 있답니다. ㅠ.ㅠ
건축답사를 하면서 여행하는 마음으로 거닐곤 하는데요.
조선말, 왕실문화를 거닐 수 있는 기회여서 좋았답니다.
이번 주는 인물들에 대한 공부를 좀 해봐야겠어요.
답사를 좀 더 가깝게 느낄 수 있을 것 같아요.
Tip! 왕실문화의 전당, 운현궁 관람안내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삼일대로 464
대표전화 : 02) 766-9090
홈페이지 : www.unhyeongung.or.kr
요금표 : 운현궁은 유료로 운영되고 있다
개장시간
하절기 개장시간 : 9:00 부터 19:00 / 매표마감 18:30 (4월초~10월말)
동절기 개장시간 : 9:00 부터 18:00 / 매표마감 17:30 (11월초~3월말)
※ 매주 월요일은 정기 휴관일 (단, 월요일이 공휴일인 경우 화요일에 휴관)
신정은의 건축학 개론 관련 글
>> 조선말 왕실문화를 거닐다 운현궁 - 신정은의 건축학 개론
>> 오래된 흔적 정독도서관 - 신정은의 건축학개론
>> 잊혀져가는 동네의 옛이야기 성북동 2 - 신정은의 건축학개론
>> 잊혀져가는 동네의 옛이야기 성북동 1 - 신정은의 건축학 개론
>> 대한민국의 역사가 숨쉬는 곳 탑골공원 - 신정은의 건축학개론
>> 지식을 품은 또 하나의 세상, 한성대학교 미래관 - 신정은의 건축학 개론
>> 지식과 문화를 교류하는 공간, 그린팩토리 라이브러리 - 신정은의 건축학개론
>> 두 손 모은 손, 경동교회 - 신정은의 건축학 개론
>> 대원각이 절로 탄생하다_길상사 이야기 - 신정은의 건축학개론
>> 종교건축, 대한성공회 서울교구 주교좌성당 이야기 - 신정은의 건축학개론
>> 전주 한옥마을 - 신정은의 건축학개론
>> 일본 도쿄, 에도도쿄 건조물원 2탄 (센터존, 동쪽존) - 신정은의 건축학개론
>> 일본 도쿄, 에도도쿄 건조물원 - 신정은의 건축학개론
>> 건축가와 함께한 토요일 - 신정은의 건축학개론
>> 한국의 전통건축, 한옥 - 건축학개론 건축학개론
>> 감응의 건축 - 신정은의 건축학개론
'대신 필진 칼럼 > 여행/캠핑/맛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생활 속 락크라울링을 즐기다 - 김강석의 RC와 캠핑정복 (0) | 2013.03.04 |
---|---|
합정동 맛집 가래떡 떡볶이, 요가래 - 권은영의 맛집멋집 (0) | 2013.02.28 |
캠핑에서 유용한 매듭법 - 김강석의 RC와 캠핑정복 (0) | 2013.02.25 |
오래된 흔적 정독도서관 - 신정은의 건축학개론 (0) | 2013.02.19 |
RC엔진 세팅법 - 김강석의 RC와 캠핑정복 (0) | 2013.02.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