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만화의 우세적인 시장점유율과 국내 출판업계의 쇠퇴로
국내 만화업계는 큰 위기 처한 적이 있었습니다.
그러나 2000년대 이후, 혜성과같이 등장한 존재가 있었는데요,
그 이름은 바로~ 웹툰!!!
게다가 최근엔 스마트폰이 널리 보급되면서 사람들은 손쉽게 웹툰과 접할 수 있게 되었고,
지금에 이르러서는 ‘웹툰 전성시대’를 열게 되었죠^^
현재 약 500명에 이르는 웹툰 작가들이 저마다 다른 매력과 개성을 뽐내며
사람들의 지루한 시간을 달달하게 달래주는데요.
그만큼 웹툰의 세계는 무궁무진하답니다 + - +
넓고 넓은 웹툰의 세계를 탐험하려면 든든한 가이드가 필요하겠죠?
지금부터 저 하모니 양이 웹툰의 가이드가 되어드리겠습니다~
웹툰 탐험!! 시작해 보아요~ > -<
# 생활의참견 (네이버 웹툰 - 매주 금, 일요일)
‘동감할 수 있는 이야기의 힘’은 생각하는 것보다 큰 힘을 발휘하죠^^
제목의 걸맞게 ‘생활의 참견’은독자들의 엉뚱하고 유쾌발랄한 에피소드가
작가의 이야기와 촘촘하게 엮어져 웃음을 자아냅니다.
우리 주변에서도 흔하게 ‘일어났을 법’한유쾌한 이야기. ‘생활의 참견’과 함께 하세요^^
# 낢이사는 이야기 (네이버 웹툰 – 완결)
‘생활의 참견’이 독자들의 에피소드를 주로 다루었다면,
‘낢이 사는 이야기’는 작가의 일상적인 이야기가 담긴 웹툰이랍니다^^
특별하지도, 굉장하지도 않은 일상이지만
주인공의 다양한 표정들과 행동들이 묘하게 어우러져
소소함이 특별한 일상으로 변하는데요,
‘낢이 사는 이야기’가 가진 소소한 일상을 살짝~ 엿보세요^^
# 달콤한인생 (네이버 웹툰 – 매주 월, 금요일)
정갈한 그림체와 깔끔한 스토리로 무장한 ‘달콤한 인생’의 가장 큰 특징은
허를 찌르는 유머와 풍자!
단 몇 컷의 그림으로도 ‘달콤한 인생’은여러분의 얼굴에 미소를 만드는 힘이 있습니다 + - +
가장 시간이 안 간다는 월요일과 금요일에는 ‘달콤한 인생’과 함께~ > - <
# 마음의소리 (네이버 웹툰 – 매주 월, 목요일)
‘마음의 소리’는 이미 개그 웹툰계의 ‘레전드’라 할 수 있죠^^
6년간 연재해 온 이 웹툰의 누적 조회수가 무려 13억!!
명실상부한 최고의 인기 웹툰이자 하나의 아이콘으로 자리 잡은
마음의 소리 역시 저 하모니 양이 강력 추천하는 웹툰입니다 > - <
# 역전야매요리 (네이버 웹툰 – 매주 금요일)
‘마음의 소리’에 이어 최고의 개그 웹툰으로 떠오르고 있는 ‘역전! 야매요리’는
정성과 최고의 재료를 요구하는 기존 요리방송과 달리
‘그까짓 것 대충~ 대충~’을 강하게어필하는데요,
전문적인 레시피를 기대하는 건 곤란하지만,
핵폭탄 급 웃음과 대충~ 맛있는 요리를 배우고 싶다면 주저 없이 선택하세요 > - <
# 미생(다음 웹툰 – 매주 화,금요일)
‘미생’이라 쓰고 ‘직장인 필독서’ 라고 읽는 웹툰 ‘미생’.
어린 시절 바둑을 두며 자라오다가 입단에 실패한 주인공이
회사라는 사회생활을 하면서 겪게 되는 일들을 다룬 이야기입니다^^
인간의 다양성과 다면성, 탁월한 심리묘사로
‘고품격 웹툰’이라고 평가 받고 있는 ‘미생’!!
사회 초년생으로 치열한 삶을 살고 있는 분들이라면,
꼭~! 한번 보실 것을 추천합니다^^
# 닥터프로스트 (네이버 웹툰- 완결)
현대인들의 심리를 치료하는 과정을 다룬 ‘닥터 프로스트’는
‘심리’라는 장르를 깊이 있게, 그러나무겁지 않게 풀어내는 웹툰입니다.
생각보다 많은 사람들이 스스로도 자각하지 못하고
마음의 병을 앓고 있는데요,
‘닥터 프로스트’를 읽는다면,
내 주위 사람들과, 혹은 나의 심리를 조금은 냉정하게 볼 수 있으니
평소 심리에 관심 있던 분들이라면 놓치지 마세요^^
우와~ 어떤 웹툰부터 봐야 할지 고민이 될 정도로 재미있는 웹툰이 참 많죠? @ ^ @
소개해드린 웹툰보다 훨씬 많은 장르가 숨겨져 있습니다 + - +
흙 속의 진주를 찾듯이, 여러분들만의 취향에 맞는 웹툰들을 찾아 보세요~!
'대신 생활 정보 > 이슈 & 트렌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리 아이를 위한 여름방학 체험 프로그램 (0) | 2012.07.30 |
---|---|
2012 대선 경제 이슈, 이것이 쟁점이다 3탄- 금산분리 (0) | 2012.07.30 |
바람이 분다 당신이 좋다 vs 여행, 혹은 여행처럼 - 悟付張의 冊vs冊 (0) | 2012.07.27 |
시티슈머? 체리피커? 新경제용어로 소비자를 말한다 (0) | 2012.07.26 |
박태환도 안 부럽다! 럭셔리 수영장 즐기기! (0) | 2012.07.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