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신 필진 칼럼/공연/문화/육아

KBS 공부하는 인간_호모아카데미쿠스 다시보기 2편 - 황종현의 바보상자 스마트 시청기

KBS 공부하는 인간_호모아카데미쿠스 다시보기 2편 - 황종현의 바보상자 스마트 시청기


공부하는 인간. 우리는 왜 공부를 하고 얼마나 공부를 하고, 그리고 어떻게 공부를 해야할까.


이에 대한 고민을 진지하게 생각해볼 수 있는 KBS의 명품 다큐멘터리 <공부하는 인간 호모 아카데미쿠스>. 미처 보지 못하신 분들이라도 제 글을 통해 공부란 무엇이고 어떻게 해야 좋은가에 대한 해답을 얻으실 수 있으실 거에요!


KBS <공부하는 인간_호모아카데미쿠스> 다시보기 1편

1편을 보지 못하셨다면 먼저 확인하시고 저의 리뷰를 따라와 주세요!


제2편 공자의 후예 -동양인은 왜 죽도록 공부하는가? 


아시아계 미국인은 미국 인구의 2%에 불과하지만 미국의 최상위권 학생들을 위한 영재고등학교 졸업생의 대부분은 동양인들이다. 그 예로 하버드대 재학생의 20%, 버클리대 재학생의 45%가 아시안인과 아시아계 미국인이라 한다. 


왜 동양인은 서양인보다 열심히 공부하고, 높은 학업성취를 보이는가?


첫째, 동양인은 서양인과 달리 개인을 넘어 가족• 사회• 국가를 위해 공부한다

 


동•서양 학생의 자기소개 시간.

동양 학생들은 개인적 특성보다는 학교, 가족과 같이 사회적 관계를 동원해서 자신을 설명한다.


 

반면에 서양 학생들은 독립된 한 개체로서의 특기, 취향, 취미 등 개인적 특성을 중심으로 이야기한다.


둘째, 가족의 기대를 저버리지 않겠다는 동기가 동양인의 학습의욕 고취


셋째, 동양인이 갖고 있는 노력에 대한 신념 

벼농사는 밀농사보다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 하고, 또 그만큼 보상이 따른다. 즉 동양인들은 벼농사를 지으면서 '내가 더 노력하면 더 많이 얻을 수 있다'라는 가치관을 갖게 되었고, 그것이 오늘날까지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 


넷째, 못하는 것에 '더' 집중한다

서양인은 어떤 성취를 이루는 데 칭찬, 성공과 같은 긍정적인 피드백에 동기부여를 받고 동양인은 비판, 실패와 같은 부정적인 피드백에 동기부여를 받는 경우가 많다.


<하이네 교수(브리티쉬 컬럼비아 대학)의 설명>

“서양인들은 능력을 정해진 것, 바뀌지 않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서양인들은 자기가 잘하는 것에 최선을 다한 것이죠. 그래서 긍정적인 피드백을 받은 미국인, 캐나다인 그룹은 잘 풀었던 시험지에 더 관심을 기울였고, 반대로 부정적인 피드백을 받은 그룹은 못하는 것 대신 자기가 잘하는 능력을 찾기 위해 새로운 문제를 풀려고 노력했던 것입니다. 그에 반해 동양인들은 능력은 얼마든지 변할 수 있다고 생각했기 때문에 긍정적인 피드백을 받은 그룹은 새로운 문제를, 부정적인 피드백을 받은 그룹은 못했던 문제를 푸는 데 더 많은 시간을 할애했죠."


동양인은 비판이나 지적을 불쾌하게 여기는 서양인과 달리 이를 수용하는 데 익숙할 뿐만 아니라 자신이 더 향상되어야 한다는 의미로 받아들인다. 즉, 동양인들은 긍정적인 피드백보다 부정적인 피드백에 강한 동기부여를 받기 때문에 성적이 나빠도 쉽게 좌절하거나 포기하지 않고 공부에 더욱 매진하고, 그만큼 높은 학업성취를 이룬다는 것이다. 


 


다섯째, 가난과 계급의 탈출구, 공부

대체로 서양인들은 기본적으로 학문 그 자체를 중요하게 생각하고 그 즐거움을 추구한다. 때문에 그들은 공부도 여타 다른 일들처럼 흥미와 소질이 있는 사람들이 하는 것으로 간주하고, 자신이 이룬 학업성취가 만족스럽지 못할 때도 노력이 부족해서가 아니라 능력의 문제라고 여긴다.


동양인들은 학문 그 자체를 중요하게 생각하기보다는 미래의 안녕을 보장하고 자신의 사회적 지위를 결정짓는 수단, 즉 출세를 위한 도구로 보는 경향이 강했다. 많은 전문가들은 공부를 출세의 도구로 보는 동양 문화의 근원을 중국 수나라 때 처음 실시되어 1300년의 시간 동안 인재의 등용문이자 출세길 이었던 과거제도로 보고 있다. 


여기까지 국가별 학구열 및 공부 방법과 동양문화권 사람들이 미친듯이 공부하는 가에 대해 구체적으로 알아 보았습니다.


이렇듯 문화와 환경에 따라 다르게 정의되고 목적도 다른 공부. 

다음 편에서는 ‘공부의 세계 최강자 유대인의 공부 방법’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다음 포스팅도 기대 많이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