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여러분!
앞으로 증시의 기술적 분석을 다룰 투자전략부 함성식입니다. 증시 분석의 경우 시장과 항상 함께 움직이지는 않기 때문에 늘 조심스럽고 신중하게 다가가야 하는데요. 하지만 그렇기에 더욱 공부가 필요한 부분이라고 생각합니다. 특히 차트분석을 통해 과거의 시세변동과 그에 따른 습성을 파악해 앞으로의 시세를 예측하는 데 도움을 주는 '기술적분석' 이야말로 지금과 같은 혼란스러운 증시에서도 놓치지 말아야 할 포인트가 되지 않을까요?
최근 계속된 급락장 앞에 다들 앞으로의 증시 변화가 어떻게 될지 가장 궁금해 하실텐데요.
그래서 오늘은 기술적 분석으로 본 '주식 시장 급락에 따른 대응전략' 에 대해 이야기 하도록 하겠습니다.
되도록 이런일은 안 일어나길 바라지만,
만일 제가 지금 벼랑 끝에 서 있는 사람이라면 어떻게 대응해야 할까요? 언뜻 생각나는 몇 가지를 적어보겠습니다.
현재의 주식시장을 나타내는 그림이라 생각합니다. 절벽에 서 있는 나 자신 !
앞으로 어찌할까? 일단 가슴이 멍멍해집니다. 최근 장세를 보면,
1. 절벽에서 기다린다 (손해를 보고 있더라고 반등을 기대하고..)
2. 추락한다 (손해를 보더라도 과감한 손절매 e 자신감 상실)
3. 걸어내려간다 (기술적 반등을 기대하고, 전략을 세워 일부 손절매 및 종목교체 e다음을 기약한다 등등)
4. 낙하산을 타고 내려간다 (우량주임으로 실적이 좋아 주가가 많이 빠지면 물타기와 더불어중장기 투자로 안전하게 기다린다)
이처럼 여러 가지 방법이 있을 수 있겠죠. 괄호 안 내용은 보기가 의미하는 바 라고 할 수 있는데요 현재 여러 기관에서 각기 다른 전망을 내 놓고 있는 상황입니다. 하지만 기술적으로는 아직 바닥확인이 되지 않았으며 기간 조정 및 가격조정이 이어질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현재의 국면은 1700선 전후로 바닥 확인 과정이 진행 중으로 판단되며, 이에 지수 저점 확인 후에 내수주 및 개별 중소형주에 주목해야 할 것으로 예상되는데요, 그럼 지금부터 저와 함께 기술적 분석을 통해 주식 시장 급락에 따른 대응전략을 살펴보도록 할까요?
1-1. 추세선 및 연간차트 채널 분석
• 연간 차트 상승 추세선 : 중요 지지선 1550선.
• 채널 추세선 분석: 하단 1550, 중단 2100, 상단 2600.
• 현재의 국면은 연간 차트에서 채널 중단에서 하단으로 가는 급락 조정 및 저점 확인 국면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1-2. 추세선 및 월간차트 채널 분석
• 월간 대세 상승의 추세선 중요 지지선: 1600선.
• 월간 차트 추세선 지표인 MACD지표와 주가사이 하락 역배열로 주가 급락.
• 중기 채널 하락 전환 밴드: 하단 1500, 중단 1800, 상단 2050.
* MACD 지표: 기간이 다른 이동평균선 사이의 관계에서 추세변화의 신호를 찾으려는 진동자 지표. 추세 방향과
주가 움직임을 분석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됨.
1-3. 추세선 및 주간차트 채널 분석
• 추세선 지표인 MACD지표와의 중기 하락 역배열로 : 저점 확인 중. 대세선인 1750선 지지여부 중요.
• 단기 급락세로 중기 및 단기 채널 모두 하락전환.
• 중기 하락 채널 밴드: 하단 1650, 중단 1930, 상단 2200.
• 단기 하락 채널 밴드: 하단 1430, 중단 1670, 상단 1930.
2. 추세선 및 상승채널 분석
• 중장기 상승채널 붕괴 : 2000선 전후.
• 패턴으로 인한 저점 산정: 1550선 전후 혹은 1700선 에서의 저점 찾기 과정
3. 파동과 시간론
• 장기 파동의 경우 Super Cycle: 2003년 저점 512포인트 기준 Super Cycle 3파동으로 진행중
목표치 3437p.(대세 지지선 1100선 전후)
• 중기 파동으로 규정시: 2008년 의미있는 저점 892기준, 5파동 혹은 3파동 진행 중.
- 중기5파동시 목표치: 1855~2032.5, 중기3파동으로 규정시 목표치: 2863.5.
※ 현재의 엘리어트 파동 규정상: 중기 추세선 붕괴로 5파동 성립이후 조정 파동 진행으로 판단.
※ 엘리어트 5파동 이후 조정파동 저점은 1572포인트.(중기적 저점)
4. 일목균형표 분석
• 일목균형표 중기 하락전환 목표치: 고점 2231포인트 기준으로 E값= 1831, V값= 1870, N값= 2153, NT값= 1992, 따라서 E값 붕괴 및
중장기 추세선 붕괴로 2E값으로 산정.
• 일목균형표 가격이론에 따른 저점 지수는 1631로 산정됨.(중기적 저점)
이렇게 몇몇 차트를 들여다보았는데요.
주요 차트를 통해 지수 급락시의 투자전략을 요약하자면,
• 중장기 추세 지지 여부 중요: 1750전후, 이후 지지선 1550선(중기적 저점)
• 단기 매도 확장 파동으로 부담이었으나 기술적 반등 구간으로 접어들면서 1700선 전후로 단기 저점 확인 과정 진행되고 있음.
• 단기적으로는 저점 확인과정과 기술적 반등을 이용한 리스크 관리에 중점 중기적으로 1600전후로는 주식비중 확대 전략.
(내수주 및 개별 중소형주 중심)
• 중장기 상승 추세선이 붕괴되는 IT, 화학, 자동차, 조선 등 우량주 부담이며, 약 3년간의 상승추세 붕괴로 기술적 반등이후 뚜렷한
실적개선이 없는 한 상당기간 주가 조정 가능성 부각됨.
자~ 여기까지가 기술적 분석으로 풀어본 지수 급락 시기의 대응전략이었습니다.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셨나요?
여러분 모두가 현재 상황에 대한 나름의 대응방안이 있으실텐데요. 투자에 참고하셔서 어려운 지수 급락기를 잘 헤쳐나가시길 기원합니다!!
특히 단기적으로는 60분이나 120분차트 혹은 일간차틍에서 MACD지표(추세선 지표)를 통한 바닥 확인 과정을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이후에 액션을 취해도 늦지 않음.
저는 여러분께서 증시흐름을 파악하고 좋은 매매 타이밍을 잡으실 수 있도록 신뢰할만한 기술적 분석을 가지고
다음시간에 찾아 뵙도록 하겠습니다!
'대신 필진 칼럼 > 절세/재무설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식 증여세 줄이는 방법 - 강도준의 절세노하우 (0) | 2011.09.06 |
---|---|
대신증권으로 입문하는 해외주식 투자 - 장준필의 글로벌투자 (0) | 2011.08.25 |
절세노하우: 주식양도와 세금 - 강도준의 절세노하우 (0) | 2011.08.24 |
직장인의 내 집 마련의 첫걸음, 청약저축 선택하기! (0) | 2011.08.03 |
신혼부부 재테크 : 맞벌이 신혼부부의 현명한 재테크 10계명 (0) | 2011.07.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