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장 리스크가 재차 커지고 있는 상황입니다.
그 동안 미래 성장주인 제약 바이오 주식의 급등과 더불어 게임주 및 카지노 주식들의 급등 그리고 엔터테인먼트 회사들의 주가 급등 기타 중소형주 랠리가 순환되면서 주가가 급등 양상입니다. 그러면 이러한 장세는 향후 지속될 수 있는가에 대한 의문을 가질 수밖에 없습니다.
중요한 것은 경기 둔화 가속화로 국내 기준금리도 향후 한두 차례 더 내릴 수 밖에 없다는 점, 우리나라도 이제 고성장세를 끝나고 저성장으로 본격 진입 할 것이라는 점, 저금리 지속에 따른 양극화가 지속될 것이라는 점, 현재 글로벌 유동성 및 국내 유동성 확장으로 마땅한 투자처가 없다는 점 등의 요인으로 주식시장은 그 어느 때보다도 뜨거운 중소형주 랠리가 이어지고 있다는 판단입니다.
그러나 사실 저금리에 따른 버블이 살짝 주식시장에 끼었다는 점도 인정하지 않을 수 없군요.
따라서 향후에는 고평가된 주식보다는 향후 실적호전과 더불어 미래의 성장성 스토리가 있고, 실적이 개선되는 기업 위주의 중소형주 랠리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물론 단기적으로는 9월 갭상승에 따른 메꾸기 작업으로 주가가 하락 조정되는 모습으로 일정부문 현금화를 통한 이익실현도 병행해야 할 것으로 판단됩니다.
유럽 위기와 미국의 재정절벽 불안감 등으로 글로벌 저성장세 지속:
(대형주의 주가 상승보다 중소형주의 주가상승 탄력도 높을 듯)
<2013년 IMF 글로벌 경제전망>
[출처: IMF, FN가이드]
<우리나라 경제 성장률 추이>
** 국내 경제도 고성장세 일단락되고 저성장 국면으로 진입
<미국의 시나리오별 경제 성장률 추이>
[출처: 포스코경제연구소]
** 미국 재정감축 합의해도 경제 성장률은 하향될 듯. 기업들 이미 투자보류 등 역효과 나타나고 있어
<시나리오별 파급 영향>
[출처: 포스코경제연구소]
** 최악의 국면은 피해야 글로벌 경제에 미치는영향이 적어질 듯
리스크를 잘 피해야 수익이 크게 날 수 있다.
단기 랠리 이후 숨 고르기 진행 중으로 판단되며 최소한 단기 추세가 꺾인 것만은 사실.
<종합지수 일간차트 추세선 분석>
■ 종합지수 중기적 밴드 범위는 : 1920~2020
- 주가와 추세선 지표인 MACD지표와 하락 역배열
- 단기 추세선 하락 전환으로 주가 9월달 갭상승한 부문 메우기 과정
■ 단기적으로는 1950선 전후 지지선이며, 중기적으로는 1920전후가 지지선 될 듯
-지지선 확인과 더불어 급등한 중소형주 이익실현도 병행할 필요선 대두
-실적호전주 및 향후 턴어라운드 기업군으로 비중 조정
■ 관심 종목 중소형주군
- 고영, 유원컴텍, 파트론, 유아이엘, 세코닉스, 네이블, 일진디스플레이, 플랜티넷, 인포뱅크, 일지테크, 한솔CSN, SK케미칼, 유한양행, 녹십자, 차바이오앤 등
함성식의 증시분석 관련 글
>> 정치적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다, 그래도 중소형주 랠리는 이어질 듯 - 함성식의 증시분석
>> 연말까지 달러 인텍스의 하락 전환에 배팅하자 - 함성식의 증시분석
>> 기술적 분석으로 풀어보는 국내 증시 (2012년 8월 10일) - 함성식의 증시분석
>> 경기선인 200일 이동평균선의 중요성! - 함성식의 증시분석
>> 삼성전자의 독주는 이어질 것이다. 가격부담으로 인한 대안은 무엇인가! - 함성식의 증시분석
>> 깔딱 고개에서 단기 조정을 염두한 종목의 순환에 주목하자 - 함성식의 증시분석
>> 종합지수와 추세선 지표사이 상승 역배열이 진행되고 있다 - 함성식의 증시분석
>> 안정성 확보를 위한 숙성 기간이 필요하다 ! - 함성식의 증시분석
>> 지수 급락에 따른 대응전략은? - 함성식의 증시분석
'대신 필진 칼럼 > 주식/증권/HTS' 카테고리의 다른 글
브라질국채를 알아보자- 장재진의 금융상품뽀개기 9탄 (0) | 2012.10.16 |
---|---|
일본 홍콩 ETF 1 - 장준필의 글로벌투자 (0) | 2012.10.15 |
주식 시세를 보려면 어떻게 할까? 현재가 확인하기 - 전지연의 HTS 공략 (0) | 2012.10.08 |
ETF 지수연동련 펀드를 알아보자- 장재진의 금융상품뽀개기 8탄 (0) | 2012.10.02 |
해외파생상품 투자 증거금제도 - 윤태진의 글로벌파생상품 (0) | 2012.09.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