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신 필진 칼럼/주식/증권/HTS

알쏭달쏭 주가지수 알아보기 (2) 해외 주가지수


한 나라의 경제상황에 가장 예민하게 반응하는 주가지수는 투자자에게 있어 교과서나 다름없습니다. 하지만 국내 투자자라고 해서 국내 증시에만 관심을 갖는 것으로 충분할까요? 국내투자자들도 해외의 주가지수에 관심을 기울어야만 합니다. 왜 그럴까요?

 

최근 증시가 글로벌 동조화(coupling)되면서 세계 각국의 주요 증시가 서로에게 영향을 미치고 있기 때문이지요. 증시의 글로벌 동조화란 다우지수가 떨어지면 코스피지수와 닛케이지수도 떨어지고, 나스닥지수가 오르면 코스닥지수도 따라 오르는 식으로 각국 증시가 동시에 같은 방향으로 움직이는 현상을 말합니다. 각국 증시가 세계화 추세를 따라 개방되고 자국과 해외 증시에 동시 투자하는 투자자가 늘어났기 때문에 생긴 결과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러니 남들보다 먼저 발 빠르게 움직이기 위해서는 주요 해외증시의 주가지수를 살펴봐야 하는 것이죠. 자 이제부터 꼭 알아두셔야 하는 몇 가지 해외지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경제대국 미국

 

한국 장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해외주가지수라면 단연 미국의 주가지수인데요. "미국이 재채기를 하면 한국은 고뿔을 앓는다"는 말 들어보셨겠죠? 미국의 경제가 여러모로 한국 경제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뜻입니다.

미국 증시 중에서도 가장 대표적인 것이 뉴욕증권거래소(NYSE: New York Stock Exchange)의 다우지수나스닥(National Association of Securities Dealers Automated Quotation)지수입니다. 다우지수는 뉴욕 증권거래소에 상장한 주요 우량 종목의 주가 추이를, 나스닥지수는 나스닥 상장종목 전체의 주가 추이를 종합해 만듭니다.

 

 

<이미지출처: 아이비타임즈


 

다우지수(Dow Jones Industrial Average)는 뉴욕 증권시장에 상장되어 있는 주식 가운데 가장 신용 있고 안정된 30개 종목을 표본으로 시장가격을 평균하여 산출한 주가지수입니다. 미국의 금융전문 언론사인 다우존스사가 발행하기 때문에 그 이름을 따 다우존스 지수라고 부르며, 한국에서는 이를 편하게 줄여 다우지수라고들 부르는 것이죠. 미국 증권시장의 동향과 시세를 알려주는 대표적 주가지수로서 가장 공신력이 있는 주가지수입니다. 하지만 시가총액이 아닌 오직 30개 우량주 종목만을 평가하고 있어 전제적인 시장상황을 정확히 반영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는 문제점이 제기되기도 합니다.

 

나스닥지수(NASDAQ, National Association of Securities Dealers Automated Quotation)는 우리나라의 코스닥과 비슷한 개념으로 뉴욕증권거래소보다 늦게 출범했습니다. 규모나 안정성, 신용도는 뉴욕 증시 상장기업보다 못하지만 장래 고수익이 기대되는 잠재력 있는 벤처기업과 첨단 정보기술(IT) 관련 기업이 많이 상장합니다. 우리나라에 비해 글로벌 기업을 많이 상장시키고 활발하게 움직여 제2시장의 세계적 본보기가 되고 있습니다.

 

지수는 어떻게 만들어질까요?


다우지수는 상장종목 중 거래가 활발하고 주가 동향을 잘 반영하는 몇 개만 대표로 고른 다음 해당 종목 시세를 단순 평균 낸 것으로 기준시점과 비교시점 주가를 비교해 주가지수를 구하는 방식입니다. 그래서 주가 평균 방식이라고도 부르고, 다우존스 방식이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지수 산출 기준일은 1928년 10일 1일입니다.

 

다우지수 =

비교시점의 대표 종목 주가 평균

X 100

기준시점의 대표 종목 주가 평균

 

나스닥지수는 다우지수와 달리 시가총액 식으로 지수를 만듭니다. 우리나라의 코스피 지수처럼 단순한 시가총액 방식은 아닙니다. 상장된 모든 보통주에 시가총액에 따라 가중치를 주고 비교시점 시가총액과 기준시점 시가총액을 대비시켜 주가지수를 구하는 것입니다. 종목마다 시가총액 별 가중치를 달리 주기 때문에 개별 기업 주식이 시장가치(시가총액)에 비례해 종합지수 크기에 영향을 미치게 되어 있습니다. 이른바 시장가치 가중지수 방식으로 1971년 2월 5일의 시가총액을 기준시점 지수 값(100포인트)으로 삼고, 나스닥 운영자인 미국증권업협회(Natioanl Association of Securities Dealers, NASD)가 지수를 산출하고 있습니다.

 

 

2. 한때 세계 최대의 주가지수 선물로 부상했던 일본

 

일본 주가지수는 1984년에 10000선을 돌파한 후 지속적으로 올라 1989년 12월에는 38957까지 올라 역사상 최고점을 찍었었던 적이 있지요. 하지만 그 이후로 '잃어버린 10년'을 맞이하면서 주식은 폭락하고 부동산 거품과 싸우게 됩니다. 주식이 끊임없이 계속 오르기만 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가능한 것은 아니라는 교훈을 주는군요.

 

닛케이지수(Nikkei Stock Average Index): 일본의 경제신문사인 닛케이 신문사가 도쿄증권거래소(TSE) 1부 시장에 상장된 주식 가운데 225개 종목의 시장가격을 평균하여 산출하는 일본의 대표적인 주가지수입니다. 다우존스 방식을 이용해 주요 종목 225개를 골라 만드는데요. 기준시점은 1949년 5월 16일이며, 기준주가 평균은 50엔입니다.

 

 

해외 주가지수 알아보기

 

 

3. 떠오르는 골리앗 중국

 

 

해외 주가지수 알아보기

<이미지 출처: 중국망>

 

상하이증권시장은 중화인민공화국 성립 41년 후인 1990년 12월에 탄생했습니다. 급 부상하는 중국 경제의 성장에 힘입어 상하이종합지수는 2001년 2245포인트를 거쳐 2007년 10월 16일에는 사상 최고치인 6124.04 포인트를 기록합니다. 국내증시가 처음으로 2007년에 2000포인트를 찍었던 것과 비교하면 상당한 성장이죠? 중국은 2000포인트에서 6000포인트까지 올랐는데 우리나라는 4년 후인 지금도 여전히 2000포인트를 맴돌고 있으니 중국이 정말 무서울 정도로 성장했다고 할 수 있겠네요.

 

상하이종합지수(Sanghai Composite Index)는 견본주(공모주)의 발행 수를 가중치로 삼아 산출한 지수입니다. 그 견본주는 상하이 증권거래소에 상장된 모든 주식입니다. 약간의 차이는 있지만 상하이종합지수 역시 우리나라 코스피 지수처럼 시가총액 방식으로 산출됩니다.

중국 본토에는 상해거래소와 심천거래소가 있지만 여전히 중국 경제를 대표하는 지수는 상하이종합지수입니다. 재미있는 것은 상해거래소와 심천거래소는 A시장, B시장으로 구분된다는 것입니다. A 시장은 중국 현지일들이 투자가 가능한 주식시장이고, B시장은 외국인 투자자 전용 시장이었으나, 2001년 2월부터 미달러화나 홍콩달러화를 보유한 중국 현지인들도 B 시장의 투자가 가능하게 되었습니다. 폐쇄적이었던 중국시장답게 조금 특이하죠?

 

 

4. 중국의 특별행정구 홍콩

 

항셍지수(Hang Seng Index) 홍콩 주식시장의 전반적 주가동향을 나타내는 대표적 주가지수입니다. 홍콩 최대의 은행인 홍콩상하이은행(HSBC)의 자회사인 항셍은행(Hang Seng Bank)이 산출하며 지수산출방식은 시가총액 방식을 채용하고 있습니다. 이 지수는 홍콩증권거래소(HKSE) 전체 거래량의 80%이상을 차지하는 33개 종목을 채용하고 있으며 1964년 7월 31일 시가총액을 100으로 기준으로 하고 있습니다.

 

홍콩 항셍지수

 

 

5. 경제 부국으로 부상하는 대만

 

 

대만 자이취엔지수

<이미지 출처: Taipei Mission in Korea>

 

대만의 자이취엔지수(Taiwan Weighted index)는 타이페이증권거래소에 상장된 445개의 대형기업들로 구성된 대만의 대표적인 주가지수입니다. 1966년을 기준시점으로 100을 기준지수로 하고 있으며 다우존스식 산출방법을 이용하고 있습니다.

 

해외지수를 표에 총 정리해볼까요? 

 

해외 주가지수

 

 

지금까지 해외주가지수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조금 복잡한가요?^^ 지구촌 사회에 살고 있는 우리에게 국제적인 이슈는 비단 그 나라의 문제가 아니라 우리에게도 문제가 되기 때문에 '우리문제'가 됩니다. 때문에 신문을 보실 때도 주가지수에 영향을 끼칠만한 이슈가 있으면 주의를 기울이셔야 합니다. 주요 해외주가지수에도 관심을 가지셔서 '국제적' 투자자로 거듭나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