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말이 다가오면서 소득공제가 가능한 상품에 대한 관심이 커져가는데요, 오늘은 소득공제한도가 확대되면서 많은 분들의 관심을 받고 있는 연금펀드를 활용한 세제혜택을 알아볼까 합니다.^^
그럼, 공제씨의 연금펀드를 활용한 절세하기, 알아볼까요?
직장인 김공제씨는 연말이 가까워지면서, 한가지 고민에 빠져 들었스빈다. 직장 생활을 시작한지 이제 2년차를 넘어가는데, 그 동안 저축이나, 미래에 대한 대비 등을 전혀 생각하지 않고 지낸 생활에 후회가 들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올해부터라도 늦었지만, 무엇인가 준비를 해야 되겟다는 생각에 직장생활을 오래하여 경험이 많은 회사 선배들과 자신과 처지가 비슷한 친구들한테 의견을 구하고, 관련 내용을 인터넷에서 찾아 보기도 하였습니다.
그 중에 김공제씨의 눈에 들어온 방법이 연금펀드였습니다.
● 연금펀드의 장점
연금펀드는 미래에 대한 저축도 되고, 불입한 금액에 대하여는 소득공제도 적용 받아 연말 정산시 혜택도 받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연금펀드의 세제혜택이 구체적으로 어떻게 적용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평소 친분이 있던 이세무사를 찾아가 연금펀드의 소득공제 효과에 대하여 물어보았습니다.
Q. 김공제 : 연금펀드의 소득공제는 저와 같은 근로소득자만 적용 받을 수 있나요?
A. 이세무사 : 급여 소득자가 연말정산시 소득공제 받는 특별항목들(보험료공제, 의료비공제, 교육비 공제 등)은 근로소득자들만 적용 받을 수 있지만, 연금펀드에 대한 소득공제는 근로자 뿐만 아니라 일반사업자도 적용을 받을 수 있는 상품입니다.
Q. 김공제 : 연금펀드에 대한 소득공제 한도가 300만원에서 400만원으로 확대되었다는데 맞는 말인가요?
A. 이세무사 : 네, 2011년1월1일 이후 최초로 납입하는 금액부터 적용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일반연금 펀드 외에 퇴직연금 펀드에도 동시에 가입한 경우에는 퇴직연금펀드에 사용자 부담금 외의 부담금을 추가로 납부한 금액과 일반연금 펀드 납부금액을 합쳐서 400만원까지 소득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Q. 김공제 : 제가 연봉이 3천만원 후반 인데, 연금펀드에 400만원을 불입하면, 약 얼마의 세금 혜택을 받을 수 있나요?
A. 이세무사 : 과세표준이 1,200만원~4,600만원 사이에서는 15%의 세율을 적용 받기 때문에 김공제씨의 경우 연금펀드에 400만원을 불입했다고 가정시, 약 60만원의 환급 효과가 발생합니다.
Q. 김공제 : 연금펀드 불입금액에 대한 소득공제의 환급효과가 커 보이는데요. 만약에 중도 해지하게 되면 어떻게 되나요?
A. 이세무사 : 연금펀드는 노후에 대한 자금을 마련하도록 정부가 지원하는 제도이기 때문에 중도해지 하는 경우에는 불이익을 받게 됩니다. 우선, 연금펀드의 소득공제 혜택을 받기 위해서는 최소 10년 이상 납입을 한 다음 적립금을 55세 이후에 5년 이상 연금으로 받아야 합니다. 만약 중도 해지하거나 일시금으로 받으면, 소득공제 받은 부분에 대하여 기타소득세(22%)를 납부해야 합니다. 그리고, 가입후 5년 이내에 해지하는 경우에는 해지가산세(2%)를 납부하여야 합니다.
Q. 김공제 : 연금펀드에 불입하고, 55세 이후에 연금형태로 지급 받는 경우 연금소득으로 과세 된다고 하던데 맞는 말인가요?
A. 이세무사 : 네, 맞습니다. 연금펀드 납부시점에서는 불입금액에 대해 소득공제를 통해 소득세를 환급하고, 실제 연금을 받는 시점에서 납입원금과(소득공제 받은 부분을 한도로 함) 신탁이익 부분에 대하여 연금소득으로 보아 과세됩니다.
강도준의 절세 노하우 관련 글
'대신 필진 칼럼 > 절세/재무설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넓고넓은 하늘아래 해외주식, 일본 업종별 대표종목 1 - 장준필의 글로벌투자 (0) | 2012.03.08 |
---|---|
절세 노하우 : 적립식 펀드 증여하기 - 강도준의 절세노하우 (0) | 2011.12.13 |
절세 노하우 : 창업자금 증여하기 - 강도준의 절세노하우 (0) | 2011.10.24 |
절세노하우: 채권에 대한 과세 - 강도준의 절세노하우 (0) | 2011.10.13 |
절세노하우: 금융소득종합과세 - 강도준의 절세노하우 (0) | 2011.09.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