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요즘 치솟는 장바구니 물가에 걱정이 많으시죠? 이는 전세계적으로 애그플레이션이 발생하고 있기 때문인데요. 오늘은 애그플레이션의 원인부터 국내에 미치고 있는 영향까지 알려 드릴게요^^~
애그플레이션(agflation)이란 농업을 뜻하는 ‘agriculture’와
인플레이션 ‘inflation’을 합성한 신조어입니다.
즉, 농산물 가격이 오름에 따라 그 여파로 다른 물가도 상승하는 현상을 말하죠.
# 2008년 애그플레이션 원인과 다른 2012년 애그플레이션!
먼저, 5년 전에 발생한 이른바 세계 최대의 먹거리 악몽이라 불리는
2008년 애그플레이션은 이상 기후를 비롯해
개발도상국의 급성장으로 인한 곡물 수요 급증, 곡물의 대체연료 소진 등
다양한 요인이 복합적으로 발생했는데요,
이 때문에 이집트와 카메룬, 아이티 등 일부 식량 부족 국가에선 폭동이 발생하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2008년 애그플레이션 원인과 달리 올해 애그플레이션은
이상기후와 함께 투기세력까지 겹쳐, 대응도 쉽지 않고
더 심각해질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오고 있습니다.
세계 최대 곡물 수출국인 미국이 55년 만에 최악의 가뭄으로
곡물 작황에 문제가 생겼고, 이는 전 세계까지 영향을 끼쳤답니다.
(단위:백만톤, %) 자료:USDA
또한, 세계 수출의 40%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브라질, 아르헨티나, 우크라이나 등도
가뭄의 영향을 받아 세계 곡물 생산량이 줄었고 가격 변동이 발생했어요.
이상 기후 뿐만 아니라 글로벌 투기자금도
또 하나의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유럽의 금융불안으로 새로운 투자처를 찾던 글로벌 투기자금은
가격이 급등하고 있는 곡물시장으로 유입되었고,
이는 더욱더 곡물가격을 상승시켰습니다.
실제로 미국에서 거래되는 곡물 시장의 규모는 1,250억 달러 수준인데,
곡물가를 기초로 한 투자펀드 규모가 3,500억 달러에 이른다고 합니다.
곡물시장에 거품이 끼어 있음을 반증하는 것이죠.
앞서 언급한 것처럼 애그플레이션은 곡물 가격이 상승하면서
일반 물가까지 상승하는 현상이기 때문에 예의 주시해야 합니다.
옥수수 가격 상승은 사료, 육류, 채소, 식품 가격 상승등으로 이어지고
전반적인 물가까지 위협할 수 있죠.
우리나라도 얼마 전까지 가뭄이 심각하게 발생했고 작황도 좋지 않았습니다.
그런데 이런 상황에서 국제 곡물 가격 상승까지 함께 발생하니…….
이제는 국내 시장도 서서히 애그플레이션에 위협받고 있는 것 같습니다.
대형마트나 시장에 가면 채소 값을 보고 깜짝 깜짝 놀라곤 하는데요 @.@~
농수산식품유통공사에 따르면 지난 달 4,100원이었던 시금치가
현재는 8,400원까지 뛰어올랐다고 합니다.
생강은 22.3%, 냉동 양파는 11%, 양배추 가격은 작년보다 108.4%나 급등했고,
곡물류 중 강낭콩은 72.5%, 옥수수는 37.9% 등 큰 폭으로 오르고 있습니다.
점점 급등하고 있는 장바구니 물가에
주부님들의 한숨만 더욱 깊어져 가고 있는 상황입니다.
게다가 더욱 심각한 것은 국내경기가 좋지 않은 우리나라에 발생한 애그플레이션은
스태그플레이션까지 이어질 수 있어 그 우려를 더 하고 있죠.
인플레이션과 스테그플레이션 바로 알기
물가상승에 소득 감소까지 이중고를 겪고 있는 서민들…….
그들의 근심과 걱정을 날려버릴 수 있는
국가 차원의 철저한 대비가 필요합니다.
'대신 금융 경제 > 금융경제 상식/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독특한 인플레이션 용어들 (0) | 2012.09.03 |
---|---|
대학생을 위한 4색 재테크 (0) | 2012.08.28 |
트리클다운과 경제민주화 (0) | 2012.08.23 |
2012 세제개편에 대처하는 재테크 방법 (0) | 2012.08.21 |
공매도와 숏커버링에 대해 알려주세요~ (0) | 2012.08.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