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신 필진 칼럼/주식/증권/HTS

기술적 분석으로 풀어보는 국내 증시 (2012년 8월 10일) - 함성식의 증시분석

최근, 주가가 급등세를 보이면서 종합지수 200일 이동평균선이 위치한 1,909포인트를 돌파하고 있습니다.

추가적인 탄력적 상승을 위해서는 거래량 증가가 중요합니다.

지난 시간에는 경기선으로서 200일 지수 이동평균선의 의미가 매우 중요하다고 말씀 드렸습니다.

 

즉, 경기선을 돌파할 경우 추가적으로 지수 상승이 나올 수 있고, 경기회복 가능성에 대해 배팅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겠죠? ^^

특히, 주가 상승으로 인한 200일 이동평균선 돌파는 경기를 알려주는 가장 빠른 선행지표이기 때문에 중요합니다. 

 

 

<종합지수와 200일 지수 이동평균선 돌파> 

 

기술적 분석으로 풀어보는 국내 증시 (2012년 8월 10일) - 함성식의 증시분석

 

  

 * 특히 과거 사례에서 볼 수 있듯이, 주가 200일선 돌파는 항상 대세상승으로 이어졌으며, 2000년 이후 현재는 8번째 200일 이동평균선을 돌파하는 모습입니다.

 

이 경우 장기적으로는 1,780선 전후가 슈퍼 중기 상승 3파동의 대바닥 저점으로 인식되고,엘리어트 슈퍼3파동 고점은 3,400선 전후입니다.

 

 

 

1. 단기적으로 추세선 지표와 주가 사이 상승 역배열 이후 추세선 지표가 기준선인 0선을 돌파할 때, 주가가 가장 많이 올랐다.

 

통상적으로 추세선 지표인 MACD지표가 주가와 상승 역배열(주가는 하락하여 전저점을 붕괴하고 있는데, 추세를 나타내는 지표들은 저점이 지속적으로 높아짐.)발생 시 주가는 향후 상승 전환됩니다.

*MACD (Moving average Convergence & Divergence)

 

 

그런데 이번에도 주가 1,800선 전후에서 저점을 5번 찍고 추세선 지표인 MACD지표와 주가 사이 상승 역배열이 발생하면서 추세선 지표가 기준선인 0선을 돌파하였습니다.

이 경우 주가의 탄력성이 가장 높게 통상 나타났고, 금번도 중장기 하락 추세선이 위치한 1,980선 전후까지 기술적 분석상으로 상승할 수 있다는 판단입니다. 

 

 

<종합지수와 200일 지수 이동평균선 돌파> 

 

 

기술적 분석으로 풀어보는 국내 증시 (2012년 8월 10일) - 함성식의 증시분석

 

- 추세선 지표 MACD : 상승 역배열 이후 상승세 지속

- 중장기 하락추세선 저항선: 1,980선 전후, 200일 지수 이동평균선 1,909포인트 돌파 

- 거래량 증가도 긍정적이기 때문에 1차 이익 실현 구간을 1980선 전후로 설정  

 

 

2. KOSPI 일목균형표 분석

 

<종합지수 일간차트 분석>

 

 

기술적 분석으로 풀어보는 국내 증시 (2012년 8월 10일) - 함성식의 증시분석

 

 

- 종합지수 200일 지수 이동평균선: 1,909포인트 돌파 

 

- 5중 바닥권 지지하였음: 1,780선 전후 è 향후 중장기적 관점에서의 저점으로 인식될 듯

 

- 일목균형표

  전환선: 고점의 상승을 지속 상승 중. 8월 3째 주 주초 조정 이후 주 후반 추가적 상승 예측

  기준선: 전환선과 <호전>이후 고점 상승으로 상승세 이어질 듯 è 매수신호 발생

  선행스팬: 음전환 구름대가 양전환 è 매수 신호 발생

  후행스팬: 주가와 후행스팬 사이 <호전> 발생 è 매수신호발생 

                       

- 거래량 증가 업종 및 기업군 주목: 낙폭과대 건설, 증권, 은행, 조선, 정유, 화학, 철강 등 업종 중 거래 증가 기업군 선별 매매 바람직할 듯, IT와 자동차 여전히 관심 

                        

- 전략: 1,980선 전후에서의 1차 이익실현과 더불어 실적호전주 매매

 

 

3. KOSPI 추세선 분석

 

<일간차트 추세선> 

 

 

기술적 분석으로 풀어보는 국내 증시 (2012년 8월 10일) - 함성식의 증시분석

 

- 단기 추세선: 주가의 상승과 더불어 상승 전환 

 

- 단기 상승 추세선 밴드: 하단- 1,770/ 중단- 1,870/ 상단- 1,970

 

- 중기 하락 추세선 밴드: 하단- 1,660/ 중단- 1,800/ 상단- 1,940